세이프가드 탓?…미국 세탁기 가격 너무 올랐다

11월 ‘세탁장비’ 소비자물가지수 급등…6년만에 최고

의회조사국 “트럼프 관세정책에 세탁기값 인상” 분석

지난달 미국 소비자용 세탁기 가격이 6년여만에 최고 수준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업계에서는 최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가정용 대형세탁기에 대한 ‘세이프가드'(Safeguard·긴급수입제한조치) 2년 연장을 결정한 것이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를 견제하고 자국 기업 월풀을 돕기 위한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정책’이 되레 가격 인상을 유발해 현지 소비자들의 후생을 갉아먹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연방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BLS)에 따르면 지난 11월 미국 전역 ‘세탁장비'(Laundry equipment) 품목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05.065로 전월 대비 6.1%(6.016) 상승했다.

월간 기준으로 미국의 세탁장비 CPI가 105 포인트를 넘어선 것은 2014년 7월(105.013) 이후 6년 4개월여만에 처음이다. 지난 2019년에 1년 내내 월별 CPI가 100을 밑돌았던 점을 감안하면 최근 가격 상승세가 더욱 가파르다는 점이 확인된다.

6개월 평균 CPI 상승률 지표를 살펴보더라도 지난 11월은 19.3%로 집계돼 노동통계국이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7월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을 기준으로 6개월간 평균 가격 상승이 매우 높았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보다 3개월 앞선 지난 8월에도 세탁장비 CPI는 104.334로 전월과 비교해 5.6% 상승했다. 올들어 세탁기 관련 CPI가 급등한 8월과 11월은 각각 세탁기 수입과 관련한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가 예고됐다는 측면에서 공통점이 있다.

우선 지난 8월에는 미국 대표 가전업체인 월풀이 미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세탁기 세이프가드 연장을 청원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세이프가드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급증해 국내 업체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거나 발생 우려가 있을 경우 수입국이 관세 인상이나 수입량 제한 등을 통해 수입품에 대한 규제를 할 수 있는 무역 장벽 중의 하나다.

미국 정부의 수입산 세탁기 세이프가드는 2017년 자국 가전업체인 월풀의 청원으로 조사가 시작됐고 이듬해인 2018년 2월 7일부터 3년 존속기간으로 도입됐다. 글로벌 가전업체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저렴한 가격에 미국으로 세탁기를 수입해 자신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는 주장이다.

지난 8월 월풀의 청원을 받아든 ITC는 3개월간의 추가 조사를 거쳐 지난 11월 25일(현지시간) 표결을 진행했고, 그 결과 만장일치로 세이프가드를 연장해야 한다고 결론냈다.

ITC는 2023년 2월까지 2년간 기간을 연장하되 쿼터 120만대를 유지, 쿼터내에서 4년차에 관세 15%와 5년차에 14%를 적용한다는 내용의 세이프가드 연장 ‘권고안’을 지난 8일 백악관에 전달했다. 현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가만 남은 상태다.

미국 정부의 세이프가드 조치가 세탁기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은 2018년에도 드러났다. 미 노동통계국에 2017년 월 평균 89.707 수준이던 세탁장비 소비자물가지수는 세이프가드 도입 첫해였던 2018년에 평균 95.771로 6.8% 상승한 바 있다.

세이프가드 2년차였던 지난해에는 월 평균 94.018로 다소 낮아졌으나 올해는 8월과 11월에 급등으로 인해 다시 월 평균 CPI가 95.339까지 치솟아 세이프가드 첫 도입 시기였던 2018년에 근접한 상태다.

미국 현지에서 바라보는 시선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기업 보호’를 명분으로 도입한 보호무역정책이 결국엔 제품 가격 상승에 따른 국내 소비자 피해로 귀결된다는 분석이다.

미국의 대표적인 싱크탱크로 의회의 핵심 입법보조기관인 ‘의회조사국(CRS)’도 최근 보고서를 통해 “2017년 평균 가격 수준과 비교해 2018년에 세탁장비 가격이 14%까지 상승했다”면서 “가격이 오르면 특정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가격 민감도 영향으로 소비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국내 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미국 현지에 가전 공장을 설립해 세이프가드에 대응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뉴베리, LG전자는 테네시주 클락스빌에 각각 가전 공장을 설립해 현지 판매용 세탁기를 생산 중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8월에는 월풀이 ITC에 세이프가드 연장을 청원했고 11월엔 만장일치로 연장안이 통과됐다”며 “애초에 세탁기 세이프가드가 시행될 때부터 국내 기업들이 주장했던 미국 소비자 피해 우려가 현실화된 셈”이라고 말했다.

LG전자가 지난 10월 출시한 세탁기와 건조기의 용량을 모두 키운 원바디 세탁건조기 ‘트롬 워시타워’ 신제품. 신제품은 하단에 24kg 용량 세탁기가, 상단에 17kg 용량 건조기가 있다.(LG전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