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타우로스’ 새 변이 작명자는 평범한 트위터 이용자

“은하이름 따”…언론 쓰지만 공식명칭은 BA.2.75

WHO, 그리스 문자 사용중…별자리 이름 쓸 수도

"켄타우로스로 명명한다. 익숙해지도록 하여라."
“켄타우로스로 명명한다. 익숙해지도록 하여라.” [사비에르 오스탈레 트위터]

일명 ‘켄타우로스’로 불리는 코로나19 BA.2.75 변이의 이름을 지은 것은 평범한 트위터 이용자라고 워싱턴포스트(WP)가 14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위터로 코로나19 관련 소식을 공유해온 사비에르 오스탈레는 지난 1일 “내가 막 BA.2.75 변이에 은하의 이름을 붙였다. 새 이름은 켄타우로스다”라는 트윗을 올렸다.

켄타우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반인반마로 은하의 이름이기도 하다.

일부 트위터 사용자는 변이 작명을 아무에게나 맡겨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장기화로 사람들의 경계가 느슨해지는 상황에서 입에 쉽게 붙는 이름이 변이에 대한 경각심을 키울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코로나19 하위변이 확산으로 북적이는 검사소
코로나19 하위변이 확산으로 북적이는 검사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현재 미국과 유럽 등에서 확산세를 주도하는 BA.4와 BA.5 변이는 별도의 이름이 없다.

세계보건기구(WHO)는 BA.2.75를 추적하고 있지만, 따로 이름을 붙이지 않았으며 켄타우로스라고 부르지도 않는다.

WHO는 지난해 과학자들과 머리를 싸맨 결과 관심을 가져야 할 변이에는 델타와 오미크론 등 그리스 문자를 부여하기로 했다.

변이가 처음 발견된 지역 명칭을 활용할 경우 해당 지역에 부정적 편견이 생길 우려가 있는 데다 일반인이 부르기 쉬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했다.

애초 WHO는 조류나 그리스 신의 이름 등 다양한 방법을 검토했지만, 상표권 침해 가능성 등 여러 문제가 있었다고 한다.

그리스 문자의 경우에도 전체 24개밖에 없는 문자를 다 써버리면 어떻게 하느냐는 우려가 있었다.

스위스 베른대의 분자전염병학자로 당시 논의에 참여했던 에마 호드크로프트 박사는 “적어도 켄타우로스는 지명이 아니고 누구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며 오해를 일으킬 가능성도 없다. 별자리와 헷갈리는 사람도 없다”며 “다만 다음에는 운이 따르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그리스 문자를 활용한 작명을 성공적으로 평가하고서 이후에는 별자리 이름을 활용할 계획이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최근 변이는 서로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아 이름 붙이기가 예전처럼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지금 등장하는 변이들은 다 한 가족의 일부와 같다”며 이제는 하위 변이에 대한 작명 방법을 검토해야 할 때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현재 WHO가 감시하는 오미크론 하위 변이만 총 7개로 여기에는 최근 확산하는 BA.2.75, BA.4, BA.5도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