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 접을 판”…물류대란에 한인기업 아우성

컨테이너 운임 최대 10배 껑충…원가 상승에 일부 제품 판매 포기

“주문에서 제품 도착까지 반년…웃돈 줘도 화물선·트럭기사 없다”

미 물류대란 진앙 LA항서 하역 대기 중인 컨테이너선들
물류대란 진앙 LA항서 하역 대기 중인 컨테이너선들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에 진출한 한국 대기업 현지 법인과 한인 업체들이 물류 대란의 직격탄을 맞았다.

미국의 대아시아 무역 관문인 로스앤젤레스(LA)항과 롱비치항이 심각한 병목 현상을 빚으며 미국 시장에 내다 팔 상품을 제때 확보하지 못한데다 컨테이너 운임이 최대 10배 올랐기 때문이다.

◇꽉 막힌 바닷길…”급행료도 무용지물”

이어 “물류대란 악화로 한국 기업 미주 법인과 한인 업체들이 지금 당장 한국에 전화해 제품을 주문하면 6개월 후에 미국에 도착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한 대기업 법인장은 “예전 같으면 한국 본사에서 제품을 주문해 거래처까지 물건을 배송하는 데 두 달 걸렸지만, 지금은 최대 넉 달이 걸린다”고 밝혔다.

꽉 막힌 바닷길은 해상 운임도 크게 올려놓았다.

한인 업체들은 컨테이너 운임이 최대 10배까지 뛰었다고 발을 동동 굴렀다.

미국 대형 유통업체에 한국산 제품을 공급하는 박진규 전 LA 한인 상공회의소 부회장은 “컨테이너 1대 가격이 작년 2월 1800달러였으나 최근에는 한때 2만 달러를 넘었다”며 “급행료를 줘도 배를 못 구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중국에서 디스플레이 제품을 수입해 미국에 판매하는 인아 디스플레이 조시 김 대표는 “물류대란 이전과 비교해 컨테이너 운임이 최대 10배 뛰었다”고 말했다.

글로벌 컨테이너 선사와 거래 관계를 유지해온 대기업 현지 법인들도 컨테이너 운송비가 7∼8배 올랐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미국 LA항 터미널 게이트 앞 줄지어 선 화물트럭들
미국 LA항 터미널 게이트 앞 줄지어 선 화물트럭들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 시장서 일부 품목 판매 포기…내륙 지역 배송 중단

대기업 미주 법인들은 해상 운임 상승으로 원가가 올라 수지타산을 맞추지 못하게 되자 일부 품목의 미국 현지 판매를 접었고 트럭 운전사 부족으로 미국 내륙 지역 상품 배송을 중단했다.

한 대기업 지사장은 “LA항에서 물건을 빼내는데 2주일 이상 걸리는 데다 거래처에서 확보해놓은 재고도 거의 바닥났다”며 “트럭 운전사가 없어 콜로라도주 덴버와 일리노이주 시카고에는 제품을 배송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한인 업체 사정은 더 열악하다.

물류대란으로 제때 한국산 제품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자 수입을 포기한 업체도 나타났다.

제 철에 팔아야 하는 식품류와 유통기한이 짧은 제품의 경우 거래처 납품 기한을 못 맞추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LA 한인 마트 관계자는 “한국산 식료품 가격이 많이 올랐고 일부 품목은 아예 들어오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항만 병목 현상 때문에 하늘길을 택하는 업체도 늘었다.

미국 대기업과 거래하는 한인기업 대표는 “거래처에 급한 상품을 전달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최근 항공운송을 이용했다”고 밝혔다.

한국 국적항공사 관계자는 “한국에서 미국으로 보내는 화물량이 물류대란 이전과 비교해 1.5배 이상 늘었다”고 말했다.

미국 LA 앞바다에서 입항을 기다리는 컨테이너선들
LA 앞바다에서 입항을 기다리는 컨테이너선들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물류대란 내년 상반기까지…서부 항만 24시간 가동? 현실은 딴판”

대기업 미주 법인과 한인 업체들은 물류대란이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 사태와 미국 시장의 구조적 문제가 맞물려 있다는 진단이었다.

미국 정부가 코로나 사태로 막대한 경기부양 자금을 풀면서 미국인들의 소비 수요가 폭발했으나 글로벌 공급망 마비로 컨테이너선은 부족하고 항만 노동자와 트럭 운전사, 창고 일꾼은 웃돈을 줘도 못 구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LA항과 롱비치항의 24시간 가동을 주문했지만, 현실은 딴판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김병선 대표는 “화물을 내리는 LA항 터미널 하나에 컨테이너선을 최대 6척 댈 수 있지만, 인부가 없어 3척밖에 소화를 못 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LA항과 롱비치항 병목 현상은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두 항구는 수심이 깊어 대형 컨테이너선이 정박할 수 있고 대형 유통업체 창고단지 등 배후 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 내륙과 동부로 뻗은 철도가 항만과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두 항구에 컨테이너선이 몰릴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김 대표는 전했다.

김 대표는 “물류대란은 출발항과 도착항 문제가 긴밀히 연결돼 있다”며 “수출을 하는 아시아 국가와 수입을 하는 미국 모두 코로나 백신 접종에 따른 집단 면역 효과가 생겨야 정상화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