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민, 북한 남침시 미군동원에 찬성 50%-반대 49%”

찬성률 러시아의 독일 침공시보다 14%p 낮아

주한미군 장기주둔엔 찬성 64%로 높은 수준

한미연합훈련에서 작전 수행하는 미군
한미연합훈련에서 작전 수행하는 미군 한미연합훈련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에 참가한 미군 병사들.

미국내 한 기관의 여론 조사에서 북한이 남침할 경우 미군을 동원해 한국을 돕는데 대한 미국민의 찬반 여론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카고국제문제협의회(CCGA)가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에 의뢰해 지난달 7∼18일 실시한 조사(오차범위 ±2%p) 결과에 따르면 ‘북한이 한국을 침공할 경우 미군을 동원하는데 찬성하느냐’는 질문에 찬성과 반대가 각각 50%, 49%로 집계됐다. 찬성이 1%포인트 많았지만 오차범위 이내였다.

찬성률 50%는 같은 문항에 대해 40%대를 기록한 2012년과 2014, 2015년 조사때보다는 높았지만 2017년 62%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았다. 작년에는 55%, 2021년에는 63%, 2020년에는 58%였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지지정당별 분류에 따르면 민주당원의 57%가 한국 방어를 위한 병력 동원에 찬성한 반면, 공화당원은 46%만 찬성했다. 무당파는 48%가 찬성했다.

대한국 병력동원에 대한 찬성률 50%는 ‘러시아가 독일과 같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을 침공할 경우’의 64%와 ‘러시아가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와 같은 나토 회원국을 침공할 경우’의 57%보다 낮았고, ‘중국이 분쟁 도서 문제를 둘러싼 갈등으로 일본에 대한 군사 분쟁을 시작할 경우’의 43%보다는 높았다.

이번 조사에서 해외에 장기 주둔하는 미군 기지를 두는데 대한 찬반 조사에서 주한미군의 경우 64%가 ‘주둔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는 2016년 70%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찬성률이다. 2018년에는 74%, 2020년에는 69%, 2021년에는 66%, 2022년에는 72%를 각각 기록했다.

주한미군의 장기 주둔에 대해 민주당 지지층의 66%, 공화당 지지층의 63%, 무당파의 62%가 각각 지지했다.

다만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주한미군 장기 주둔에 대한 미국민의 찬성률은 주일 미군(63%), 주독 미군(61%), 주폴란드 미군(54%) 등에 비해서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