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둔화에도 미국 장바구니 물가는 ‘한계수준’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3% 대비 전체 식료품 물가 5.7%로 높아

미국의 6월 소비자 물가는 둔화했지만, 장바구니 물가는 거의 한계 수준에 이르고 있다는 경제학자들의 경고가 나왔다고 마켓워치 등이 12일 보도했다.

노동부에 따르면 6월 소비자 물가는 1년 전에 비해 3% 올라 상승세 속도가 둔화했지만 장바구니 물가와 외식비는 각각 4.7%와 7.7%나 상승하는 등 전체 식료품 물가는 5.7% 올랐다.

퍼듀대 농업경제학과 제이슨 러스크 석좌교수는 “전반적으로 식료품 물가의 상승압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런 추세가 소비자들이 원하는 식품 구입에 어려움을 겪는 티핑포인트로 몰고 가는지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러스크 교수는 2개월 전 14%에서 이처럼 증가한 것은 재정적으로 취약한 소비자에게 가해지는 압박을 고려할 때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이뤄졌던 취약계층 보충영양 지원 프로그램(SNAP) 확대 시행이 지난 3월 종료돼 SNAP 수혜자들은 현재 매달 평균 90달러(약 11만원) 정도를 덜 받게 됐다는 것이다.

미국 소비자들은 식료품 구입에 주당 평균 120달러, 외식비에 70달러를 지출하고 있는데, 연 소득 5만∼10만 달러(약 1억3천만 원)의 중산층과 연 소득 5만 달러 미만의 저소득층 가구는 이미 식품 구입과 외식비에서 10달러 정도를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기관 모닝컨설트의 조사 결과, 저소득 가구의 경우 지난 5월 기준으로 SNAP에 의존하고 있다고 답한 경우가 2월보다 7%포인트 높아진 47%나 됐다.

또 저소득층 재정건전성 개선을 목표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펠’이 SNAP 이용자의 경제 상황 등에 대한 불안감 등을 조사한 결과, 저소득 가구의 ‘식량 불안정’은 공과금과 임대료 등과 결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최근 몇 달간 퇴거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응답자의 절반 정도가 원하는 식품을 구입할 여유가 없다고 답했으며, 6월 공과금 지연 납부가 전달보다 11% 늘었으며 제때 전액 납부한 경우는 27%에 불과했다.

마켓워치는 인플레이션이 둔화했다고 해서 장바구니 품목들의 가격이 하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소매업계 인터넷 매체 슈퍼마켓구루닷컴의 편집인 필 렘퍼트는 “소비자들이 기본적으로 가격 때문에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다고 말할 때까지 그들(기업)은 계속 가격을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