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OECD 고소득 국가 중 임산부 사망률 최고

“미국, 의료서비스 접근성 낮고 보험 보장도 부족”…한국은 4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속한 고소득 국가 14곳 중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사망할 확률이 가장 높은 나라는 미국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한국의 모성사망률도 14개국 중 4위로 높은 편이었으며 노르웨이가 가장 적었다.

CNN방송은 4일 민간 보건정책 연구재단인 커먼웰스펀드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모성사망은 임신이나 출산과 관련한 합병증 등으로 임신 중이나 출산 과정, 혹은 산후에 여성이 숨지는 경우를 말한다.

조사 결과 미국의 모성사망률이 10만명 출생당 22.3명꼴로 가장 높았다. 특히 흑인 여성의 경우 이 수치가 10만명당 50명 수준으로 더 높았다.

칠레가 10만명당 14.3명으로 뒤를 이었고 뉴질랜드가 13.6명으로 3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10만명당 8.8명 수준으로 4위에 이름을 올렸고 일본은 3.4명으로 10위였다.

모성사망률 그래프
모성사망률 그래프 [커먼웰스펀드 홈페이지 캡쳐. 재판매 및 DB 금지]

반면 노르웨이는 10만명당 0명, 스위스는 1.2명, 스웨덴은 2.6명 등으로 북유럽 국가들이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CNN에 따르면 커먼웰스펀드는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의료보험제도와 낮은 의료서비스 접근성 등을 높은 모성사망률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노르웨이 등 다른 국가보다 산모 돌봄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산모를 돌보기 위한 조산사와 산부인과 의사의 공급률은 출생아 1천명당 미국은 16명, 캐나다는 13명 수준에 불과했다.

특히 다른 국가들에서는 조산사 등을 통한 산전, 산후 관리가 의료보험제도로 지원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미국에서는 지원이 제한적이었다.

반면 노르웨이는 산전관리가 무료였고, 고위험군 산모도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있었다.

보고서 작성을 주도한 한 연구원은 “미국은 조사 대상 국가 중 보편적인 의료체계가 없는 유일한 국가이며, 800만명에 달하는 가임기 여성들이 건강보험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신생아 보건 단체 ‘마치 오브 다임스'(March of Dimes) 보고서 등에 따르면 미국에서 15∼44세 사이 가임기 여성 중 220만명이 임산부 진료 시설이 없는 지역에 살고 있으며, 미국 내 카운티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지역의 병원에서 지난 5년여간 출산 관련 시설이 사라졌다.

모성사망의 경우 3분의 2가 산후 42일 사이에 발생하는데, 미국의 경우 산후 가정 방문 등을 통한 검진도 다른 국가보다 적었다.

보고서에 거론된 14개 국가 중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은 모두 산후 1주일 이내에 적어도 한차례는 검진을 보장하고 있었다.

또한 미국은 14개국 중 국가 차원에서 산후 유급휴가를 제공하지 않는 유일한 나라였다.

다른 국가들은 적어도 14주간의 유급 휴가를 보장하고 있었다.

커먼웰스펀드의 로리 제피린 박사는 “이제는 다른 국가들에서 모두 잘 작동하고 있다고 확인된 것들에 우선순위를 둬야 할 시점”이라며 “건강보험 적용 확대, 인력과 지원시스템 강화, 유급 출산휴가 도입 등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