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세계 대외투자 3분의 1 흡수

“투자자들, 탈달러 우려 제쳐 둬”…금리인하·대선은 변수로 꼽혀

미국의 고금리와 산업정책 등의 영향으로 최근 몇 년간 전 세계 대외 투자금의 미국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16일 국제통화기금(IMF) 분석을 근거로 코로나19 확산 이후 국경을 넘어 이뤄진 투자 가운데 3분의 1 가까이는 미국으로 흘러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코로나19 이전만 해도 이 수치는 평균 18% 수준이었다.

미국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현상) 대응 과정에서 기준금리를 수십 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리면서 전 세계 투자금이 미국으로 몰렸다.

또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법 등을 통해 대규모 인센티브를 제공한 것도 미국으로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증가에 기여했다.

일각에서 탈달러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해외 투자자들이 그러한 이야기를 제쳐두고 있다는 게 블룸버그의 평가다.

코로나19 이전까지만 해도 세계 자본은 중국을 비롯한 신흥 시장으로 유입됐지만, 미중 갈등 격화 속에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 대외 투자 가운데 중국 비중은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IMF 자료를 보면 국가 간 자본흐름 총액에서 중국 비중은 2019년까지 10년간 7% 수준이었지만 2021∼2023년 3% 수준으로 내려왔다.

중국 상무부 자료를 봐도 중국으로의 FDI가 4월까지 4개월 연속 줄어들었고, 미국의 고금리 및 중국의 저금리가 대비되면서 중국 기업들의 외화 매수가 2016년 4월 이후 최고를 기록하는 등 자본이 유출되는 상황이다.

지난해 신흥시장으로의 FDI 규모는 국내총생산(GDP)의 1.5% 수준으로 2000년대 들어 최저 수준으로 내려왔다.

국제금융협회(IIF)의 조너선 포튼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이 신흥국으로 흘러가는 자금 일부를 말려버렸다”고 평가했다.

다만 향후 미국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경우 미국 자산의 투자 수익률이 내려갈 수 있고, 11월 미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집권할 경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을 뒤집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의 재정적자 급증, 미국의 정치적 양극화 등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TS롬바드의 그레이스 팬은 “법치가 다음 대통령 임기 동안에도 우세할지가 제도적 관점에서 큰 문제”라면서 “이는 탈달러 움직임이 서서히 힘을 얻는 상황에서 미국 자산에 대한 충분한 투자자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기본”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삼성전자 텍사스 오스틴 공장 모습
[삼성전자 제공]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