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 한국전 영웅, 75년 만에 조국 품으로

앤서니 콘제 상병, 캔톤 국립묘지에 안장

한국전쟁 중 실종됐던 미군 참전용사가 전사 75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왔다.

고(故) 앤서니 콘제(Anthony Konze) 상병의 유해는 18일 조지아주 캔톤의 조지아 국립묘지에 안장되며, 미 정부의 예우 속에 장례식이 거행됐다.

1930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난 콘제 상병은 1949년 10월 미 육군에 입대해 제2보병사단 23연대 소속으로 한국전에 참전했다. 그는 1950년 9월 1일, 경남 창녕 근처 전투 중 실종됐고 이후 미군은 1951년 11월 신기리 인근에서 발견된 무명 유해 중 하나를 ‘X-5046’으로 분류해 하와이 국립태평양기념묘지(NMCP)에 안장했다.

이 유해는 2021년 미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에 의해 발굴됐고, DNA 분석과 과학적 검사를 거쳐 2024년 12월 앤서니 콘제 상병으로 신원이 최종 확인됐다. 유가족들은 75년 만에 그가 돌아왔다는 소식을 듣고 큰 감동과 함께 장례를 준비했다.

18일 오전 캔톤 다비 퓨너럴 홈 채플에서 진행된 장례식에는 유족과 지역사회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한미우호협회 박선근 회장,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미남부지회 장경섭 회장, 애틀랜타 총영사관 신혜경 보훈영사 등도 참석해 고인을 추모했다.

콘제 상병의 생존 여동생인 캐럴 로버슨(Carol Robertson), 아이린 이건(Irene Egan), 로레타 버그스마(Loretta Bergsma) 등 유족들이 고인의 삶과 희생을 기렸다.

대한민국 정부는 고인의 희생에 경의를 표하며, 신혜경 보훈영사를 통해 ‘평화의 사도 메달’과 선언문을 유족에게 전달했다.

콘제 상병은 그동안 하와이 NMCP의 무명용사 묘역에 잠들어 있었으나, 이제는 정식 신원이 확인된 전쟁영웅으로 조국 땅에 안장됐다. 그의 이름은 워싱턴 DC의 한국전쟁기념공원과 하와이 국립묘지의 실종자 명단 ‘Courts of the Missing’에도 새겨져 있다.

콘제 상병은 생전 어머니 캐서린, 아버지 알버트, 형제 존과 프레데릭, 그리고 여섯 명의 여동생과 함께한 가정의 장남이었다.

기자 사진

이상연 기자
한국 정부가 전달한 평화의 사도 메달.
장경섭 회장, 신혜경 영사, 박선근 회장이 유족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