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짜준 ‘완벽한 여행’?…현실은 ‘쓰레기’

휴관일·비싼 호텔·엉터리 동선…여행객들 “AI 일정 믿었다가 낭패”

챗GPT 등 인공지능(AI) 챗봇이 제안하는 ‘맞춤형 여행 일정’을 신뢰했다가 잘못된 정보로 피해를 본 여행객들이 늘고 있다.

AI 여행이 ‘완벽한 가이드’를 자처하지만, 현실은 오류와 왜곡된 정보의 반복이었다는 지적이다.

10일 데일리메일은 오리건주 마케팅 컨설턴트 오리트 오프리(Orit Ofri)의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파리 여행 일정을 세우며 챗GPT의 도움을 받았지만, 박물관 휴관일과 동선 오류로 인해 일정을 전면 수정해야 했다.

오프리는 “챗GPT가 월요일에 오르세 미술관을 방문하라고 추천했는데 실제로는 매주 월요일 휴관이었다”며 “에펠탑 근처 ‘도보 10분 거리 식당’을 요청했지만, 실제로는 20분 이상 걸리는 곳들만 안내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AI 전문가들도 비슷한 문제를 지적했다.

미국의 AI 전문가 조나스 무토니(Jonas Mutoni)는 케냐 마라 국립공원 여행 계획에 챗GPT를 활용했지만 “현지 도로 사정, 이동 제한, 비자 정보 등 핵심 정보가 빠져 있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이용자는 챗GPT가 주변 호텔 중 유사 등급보다 약 40% 비싼 숙소를 추천했다며 “AI가 마케팅 키워드나 광고 노출 빈도에 과도하게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했다.

영국 여행업협회(ABTA)의 조사에 따르면 AI를 활용해 여행 일정을 계획하는 영국 여행객의 비율은 1년 새 2배 증가했다.

현재는 12명 중 1명(약 8%)이 AI를 이용해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

응답자의 43%는 AI가 일정 구성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지만 여전히 39%는 AI의 추천을 완전히 신뢰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여행지를 결정할 때는 여전히 ‘지인 추천’(48%)과 ‘인터넷 검색’(46%)이 주요 기준이었다.

관광 안내 책자나 브로셔를 참고하는 비율도 25%로 여전했다.

전문가들은 “AI는 방대한 정보를 빠르게 조합할 수 있지만 현지 상황·날짜·문화적 맥락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근본적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AI 여행 일정은 참고용으로만 활용하고 최종 확인은 반드시 공식 웹사이트나 현지 기관을 통해 검증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챗GPT 채팅화면 캡처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