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구진 “노인은 4500보만으로도 심혈관 질환 위험 현저히 낮아”
건강 관리의 대표 지표로 자리 잡은 ‘하루 1만보 걷기’가 사실상 의학적 근거보다는 마케팅에 의해 만들어진 목표치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2300보만 걸어도 심혈관 건강이 개선되며, 3800보 이상이면 치매 예방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뉴욕포스트는 전 세계 22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분석 결과를 인용해 “하루 2300보만 걸어도 심혈관 건강이 개선된다”는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연구진은 또 하루 3800보를 걸으면 뇌 기능이 활성화되고, 치매 발병 위험이 줄어드는 경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히 노인의 경우 4500보만 걸어도 심혈관 질환 위험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파인버그 의대의 메르세데스 카네톤 박사는 “매일 1만보를 걷기 어려운 노인들에게 매우 고무적인 소식”이라며 “적은 걸음 수로도 충분히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하루 1만보’가 오랜 세월 건강 기준처럼 여겨져 왔지만, 그 뿌리는 의학 연구가 아닌 1960년대 일본의 광고 캠페인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한다.
당시 한 만보기 제조사가 ‘매일 1만 걸음 걷기(万歩計)’라는 슬로건으로 제품을 홍보하면서 ‘1만보’가 건강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모든 사람에게 1만보가 최적의 목표라는 과학적 근거는 없다”며 “걷기 습관은 개인의 나이, 체력, 질병 상태에 따라 조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단순히 걸음 수보다 걷기의 질과 지속성이 더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짧은 산책이라도 꾸준히 실천하면 혈류 순환과 면역 기능이 향상되고, 스트레스 해소·수면 개선 등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 효과를 준다는 것이다.
미국심장협회(AHA)는 “하루 20~30분 정도의 걷기라도 일주일 5회 이상 꾸준히 하면 심장질환·비만·당뇨병 위험이 크게 낮아진다”고 권고했다.









![[포토뉴스] 이재연 보험, 내슈빌서 보험 교육](https://i0.wp.com/atlantak.com/wp-content/uploads/2025/10/563999102_18066453389346689_1732511884245717622_n.jpg?resize=245%2C156&ssl=1)



![[비즈카페] “건강하고 행복한 아침을 전합니다”](https://i0.wp.com/atlantak.com/wp-content/uploads/2025/09/park.jpg?resize=245%2C156&ssl=1)



![[비즈카페] 챔블리 ‘아주 송 한의원’ 오픈](https://i0.wp.com/atlantak.com/wp-content/uploads/2025/08/photo_2025-08-13_02-46-54.jpg?resize=245%2C156&ssl=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