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주 하원의원 첫 언급…“6개월 전부터 연방 당국에 신고”
노조 “현대차 현장 건설계약 130사 중 12개만 현지업체” 불만
지난 4일 조지아주 브라이언카운티에서 실시된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 대한 대규모 이민 단속이 지역 건설노조의 반복적인 신고와 민원 접수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주장이 공식적으로 처음 제기됐다.
조지아 주하원의원 맷 리브스(공화)는 6일 애틀랜타 K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연방 이민단속은 지역 건설노조가 6개월 전부터 불법고용 정황을 지속적으로 연방 당국에 제보한 데서 시작됐다”고 밝혔다.
그는 어느 지역 노조가 신고를 했는냐는 기자의 질문에 “특정 노조를 지칭할 수 없지만 적지 않은 민원이 접수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주정부 역시 당시부터 관련 신고 내용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현지 건설업체와 지역 노조들은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가 현대차 메가사이트 유치를 발표하면서 조지아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외국 기업과 불법 취업 노동자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내왔다.
배관공(Plummer & Pipefitters) 노조 로컬 188 관계자는 한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모든 노조원들이 현대차 입주를 기뻐하면서 많은 일자리를 기대했었다”면서 “하지만 지역 업체와 노조원들이 공사 참여에 배제돼 문 앞에 있는 일자리 대신 타주로 먼 길을 떠나야 했다”고 말했다.
실제 연방 노동부 직업안전청(OSHA) 자료에 따르면 현대차 메가사이트의 건설 현장 계약을 마친 130개 회사 가운데 이 지역에서 오래 활동해온 업체는 12곳에 불과했다.
특히 이 지역 주소를 가진 다른 업체들은 모두 현대차 메가사이트 착공일 직전 3주 안에 설립된 것으로 나타나 현지 노조원들은 “한국 기업과 한인들에 의한 내부자 거래”라고 비판해 왔다.
이러한 노조원들의 불만은 트럼프 지지 강경파 정치인들과 결합해 이번 단속의 촉매제가 된 것으로 분석된다.
미 해병대 출신이자 2026년 조지아 연방하원의원 선거에 출마를 선언한 토리 브레이넘(Tori Branum) 은 단속 당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몇달 전부터 내가 이 공장을 ICE에 직접 신고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본보 기사 참조>
브레이넘은 “지역 주민들이 일자리를 잃고 있는 상황에서 수백 명의 불법 외국인이 일하고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며 “현장 내부에서 여성 인신매매, 암매장 의혹까지 있었기에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신고가 “조지아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