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국내 125조 투자…AI·수소·로봇 중심 ‘미래 전략’ 강화
현대자동차그룹이 한미 관세 협상 타결을 계기로 국내 투자와 협력사 지원 확대에 나섰다.
그룹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총 125조2000억원을 국내에 투자하고 현대차·기아 1차 협력사가 미국 수출 과정에서 부담하는 관세를 전액 지원하기로 했다.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현대차그룹은 향후 5년간 AI·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전동화·로봇·수소 분야에 50조5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는 직전 5년(89조1000억원)보다 36조1000억원 증가한 그룹 사상 최대 규모다.
이 밖에 ▲R&D 38조5000억원 ▲국내 생산설비 및 서비스망 확충 36조2000억원이 투입된다.
그룹 관계자는 “대한민국이 글로벌 모빌리티 혁신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AI·로봇 산업, 그린 에너지 생태계가 함께 성장하는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자율주행차·로봇 등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PB(페타바이트)급 저장소를 갖춘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 센터’를 설립해 로봇의 안정성 검증과 고객 맞춤형 로봇 생산을 담당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로봇 완성품 제조 및 위탁생산 파운드리 공장을 신설해 중소기업 로봇 제품 생산도 지원한다.
그룹은 엔비디아와 협력해 5만 장의 블랙웰 GPU를 도입, 차량용 AI 및 로보틱스 역량 강화에도 나선다.
수소 분야에서는 1GW 규모의 양이온 교환막(PEM) 수전해 플랜트와 수소 출하센터·충전소를 서남권에 조성한다.
국내 생산 전기차 공장은 ‘글로벌 마더팩토리’로 육성해 완성차 수출을 2030년 247만대로 늘릴 계획이다.
그중 전동화 차량은 69만대(2024년)에서 176만대로 2.5배 이상 확대한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차·기아 1차 협력사가 미국 내 현대차그룹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 현대차 앨라배마, 기아 조지아 공장 등에 납품할 때 발생하는 관세를 전액 지원한다.
총 지원 규모는 향후 수출 실적 집계 후 확정된다.
또 5000여 개의 2·3차 중소 협력사까지 포함해 원자재 구매, 운영자금, 이자 지원, 해외 판로 개척 등 글로벌 경쟁력 강화 프로그램을 확대할 예정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직후 “국가로부터 큰 도움을 받았고 반드시 그 신세를 갚겠다”며 감사의 뜻을 전한 바 있다.
이번 협상으로 미국 내 자동차 관세는 25%에서 15%로 인하되며, 현대차그룹은 연간 최대 4조원 규모의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포토뉴스] 이재연 보험, 내슈빌서 보험 교육](https://i0.wp.com/atlantak.com/wp-content/uploads/2025/10/563999102_18066453389346689_1732511884245717622_n.jpg?resize=245%2C156&ssl=1)



![[비즈카페] “건강하고 행복한 아침을 전합니다”](https://i0.wp.com/atlantak.com/wp-content/uploads/2025/09/park.jpg?resize=245%2C156&ssl=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