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사스 A&M 대학 과학자…ICE 구금시설에 10일째 수용
미국 영주권을 소지한 한인 과학자가 한국을 방문한 뒤 미국으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입국 심사 도중 미 당국에 구금돼 논란이 일고 있다.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미교협, KASEC)에 따르면 텍사스에 거주하는 김태흥(40) 씨는 지난 21일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2차 심사 대상으로 분류된 뒤 10일째 구금 상태에 있다. 김씨는 현재 이민세관단속국(ICE) 산하 구금시설에 수용 중이다.
김씨는 다섯 살 때 미국에 이주해 현재까지 35년 이상 미국에서 거주했으며, 텍사스 A&M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으며 라임병 백신 연구를 수행하고 있었다. 이달 초 가족과 함께 남동생의 결혼식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뒤, 혼자 귀국하던 중 억류됐다.
김씨의 변호인은 “구금 사유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변호인 접견과 가족 연락도 차단된 상태”라고 밝혔다. 김씨는 2011년 소량의 대마초 소지 혐의로 기소된 이력이 있으며, 사회봉사 명령을 모두 이행한 바 있다.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워싱턴포스트에 보낸 성명을 통해 “영주권자가 마약 관련 유죄 판결을 받을 경우, 출두 통지서가 발부되고 ICE가 구금 조치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씨의 부모는 1980년대 미국으로 이주해 시민권을 취득했으나, 김씨와 남동생은 당시 미성년 기준을 넘긴 탓에 시민권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 어머니는 “35년을 살아온 미국이 고향 같은 아이가 과거 실수 하나로 부당하게 갇혀서는 안 된다”며 억류 조치 철회를 호소했다.
KASEC 측은 “CBP가 최대 72시간으로 규정된 억류 기간을 넘기며 법적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며, “정식 재판을 통한 권리 회복과 함께 연방 의회 차원의 공론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씨는 현재 만성 천식 질환을 앓고 있으며, 약물 공급 여부도 불확실한 상태다. KASEC은 인도적 차원의 조속한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