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맥주 2병, 출혈성 뇌졸중 10년 앞당긴다”

하버드의대 연구팀 “절주·금주가 모든 형태의 뇌졸중 예방에 효과적”

하루 소주 한 병, 혹은 맥주 500㎖ 2병 수준의 일상적 과음 습관이 출혈성 뇌졸중 발생 시기를 10년 이상 앞당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버드의대와 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 연구팀은 “절주와 금주가 뇌졸중 예방은 물론 심혈관 건강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미국신경학회(AAN) 학술지 Neurology 6일자에 실린 이 연구는 2003년부터 2019년까지 매사추세츠종합병원에 입원한 뇌출혈 환자 1600명(평균 연령 75세) 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맥주 1캔(355㎖)을 알코올 14g, 1잔으로 정의, 하루 3잔 이상을 정기적으로 마시는 사람을 과음자로 분류했다.

전체 참가자 중 104명(7%)이 이에 해당했다.

그 결과 과음자의 뇌출혈 발생 평균 나이는 64세로 비음주자 평균 75세보다 11년 빨랐다.

또한 과음자의 출혈 범위는 비음주자보다 평균 70% 더 넓었고 뇌실(뇌 속 체액 공간)로 출혈이 퍼질 가능성은 약 2배 높았다.

MRI 분석 결과, 과음자들은 뇌 백질 손상(미세혈관 질환) 징후를 보일 확률이 비음주자보다 3배 이상 높았다.

또한 입원 당시 과음자들의 혈압이 더 높고 혈소판 수치가 낮아 혈액 응고 능력이 떨어진 상태였으며, 이는 출혈 악화 및 회복 지연과 관련이 있었다.

에딥 구롤(Edip Gurol) 하버드의대 박사는 “과음은 단순히 출혈 위험을 높이는 데 그치지 않고 뇌의 미세혈관을 장기적으로 손상시켜 뇌졸중·인지 저하·장기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구롤 박사는 “뇌출혈 위험이 낮은 사람이라도 음주량을 주 3잔 이하로 줄이는 것만으로도 모든 형태의 뇌졸중 예방과 심혈관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된다”며 절주·금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또 “특히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뇌졸중 고위험군은 생활습관 개선을 뇌혈관 질환 예방 전략의 핵심으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음주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