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니가 사라진다”…1센트 동전 생산 중단 부작용

소매점 반올림 결제·모바일 결제 유도…현금 거래 ‘불편’ 커져

미국에서 1센트 동전(페니·Penny)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연방 재무부가 올해 초 페니의 단계적 생산 중단을 발표한 이후, 전국 소매업계에서 ‘잔돈 부족’ 사태가 확산되고 있다.

15일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전국편의점협회(NACS)와 전국식료품점협회(NGA) 등 주요 유통 단체들은 최근 의회에 서한을 보내 “매장 내 동전 부족 문제에 대한 명확한 정부 지침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거래 금액을 5센트 단위로 반올림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 제정과, 매장 내 수표 현금화 절차 완화를 요청했다.

협회 측은 “이러한 조치가 없을 경우, 저소득층 소비자들이 현금 결제의 불편을 고스란히 떠안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페니 한 개를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3.7센트로, 이미 2006년 이후부터 제조비가 액면가를 초과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러한 비효율성을 이유로 생산 중단을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해 연간 약 5600만 달러(한화 약 794억 원)의 세금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연방준비은행(Fed)은 일부 지역에서 은행과 신용조합에 페니 공급을 중단한 상태다.

동전 부족으로 소매점과 패스트푸드 매장들이 자체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위스콘신주 편의점 체인 ‘퀵 트립(Quick Trip)’은 중서부 지역 850개 매장에서 현금 결제 금액을 5센트 단위로 내림 처리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주의 ‘시츠(Sheetz)’ 매장에는 “조폐국이 더 이상 페니를 생산하지 않아 동전이 부족합니다”라는 안내문이 붙었다.

이 매장은 고객에게 카드·모바일 결제 이용을 권장하는 한편, 현금 결제 시 잔돈을 자선 기금에 기부하거나, 1달러어치의 페니를 가져오면 음료를 무료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홈디포(Home Depot) 매장에서는 “정확한 잔돈이 필요하다”는 문구가 부착됐으며, 버거킹(Burger King)은 “페니 부족으로 잔돈을 정확히 거슬러주지 못할 수 있다”고 공지했다.

전문가들은 니켈(5센트 동전) 역시 생산 단가가 13.8센트에 달해, 다음 단계의 생산 중단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다.

Atlanta K Media Illustration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