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영향, 소비자 물가 상승 본격화

가구·커피·자동차부품 줄줄이 올라…수입품 중심 가격 인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 여파가 미국 소비자물가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5일 “기업들이 보유 재고를 소진한 뒤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수입품 중심의 물가 상승세가 시작됐다고 보도했다.

연방 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최근 6개월간 오디오 기기 가격은 14% 상승했고, 의류는 8%, 공구·하드웨어·부품은 5% 올랐다. 같은 기간 미국의 전반적인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9%에 그쳤지만, 수입재 가격 인상이 본격화되며 압박이 커지고 있다.

FT에 따르면 세계 최대 가구 제조업체인 애슐리 퍼니처는 5일부터 전체 제품 중 절반 이상에 대해 최소 3.5%에서 최대 12%까지 가격을 인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말 소파·의자 등 ‘업홀스터드 가구’에 대해 오는 14일부터 25%의 수입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자동차 부품업체 오토존도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커피, 자전거, 식기세척기 등 다양한 품목의 가격이 오르고 있다. 미국은 최근 세계 최대 커피 수출국 브라질에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시장조사업체 텔시 어드바이저리 그룹에 따르면 4월 이후 소매업체들은 티셔츠·신발 등 29개 ‘소프트라인’ 품목 중 11개, 자전거·가전 등 18개 ‘하드라인’ 품목 중 12개에서 가격을 인상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지금까지는 수입업자와 소매업체들이 관세 인상의 부담을 흡수해왔지만, 이제는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철강 관세 인상 여파로 통조림 가격도 오르는 등 전반적인 생활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이다.

미국 소비자지출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수입재 가격 상승이 이어질 경우, 고물가에 따른 소비 위축과 실질 구매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언론과 문답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워싱턴 AP=연합뉴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