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공장 체포 사태 관망하다 원론적 입장만 밝혀” 비판 여론
트럼프 눈치 보느라 갈짓자 행보…찰리 커크 피격에는 행정명령
조지아주 브라이언카운티 현대차 배터리 공장 단속으로 한국인 317명을 포함한 475명이 체포된 지 1주일 만에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가 처음으로 입장을 내놨다.
하지만 핵심을 피해간 원론적 내용에 그쳐 지역사회와 한인 커뮤니티에서 비판이 일고 있다.
켐프 주지사는 10일 오후 성명을 통해 “조지아는 한국과의 40년 우호관계를 자랑스럽게 이어왔으며, 이번 사건이 그 관계를 해치게 두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단속의 정당성과 과정에 대한 언급은 없었고, “현대차가 주·연방 법률을 준수하겠다고 재확인한 것을 환영한다”며 기업 측에 책임을 묻는 듯한 뉘앙스를 포함했다.
켐프 주지사는 이어 “2024년 말부터 메타플랜트에서 진행 중인 생산을 축하하며, 배터리 공장 완공을 기대한다”며 이번 사태로 인해 조지아 최대의 경제 개발 프로젝트가 중단돼서는 안 된다는 기존 입장만 되풀이했다.
이번 사건은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이 대규모 단속을 전개하며 한국 국적자 수백 명이 체포되고, 외교적 긴장까지 고조된 초유의 사태였다. 한국 정부는 외교부 장관과 차관을 잇따라 미국에 급파하고, 전세기까지 투입해 한국인 근로자 316명을 귀국시키는 등 총력 대응에 나섰지만, 조지아 주정부는 지난 4일부터 무려 6일간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켐프 주지사의 이번 발언도 지역 언론 보도를 통해 뒤늦게 확인된 것으로, 단속의 부당성이나 향후 재발 방지 대책에 대한 언급은 전무했다.
반면, 같은 날 발생한 트럼프 최측근 찰리 커크 총격 사망 사건과 관련해서는 즉각적인 긴급 행정명령을 발표하며 대응 강도를 높인 점에서 ‘이중 잣대’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공화당 청년 보수 진영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찰리 커크가 유타주 대학 강연 도중 피격돼 사망한 사건에 대해 켐프 주지사는 즉시 애도의 뜻을 표하고, 비상사태 대응 명령을 발동했다.
켐프 주지사는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 역시 한미 양국의 견고한 관계를 강조하고 있으며, 우리는 이를 기반으로 더 나은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며 마가(MAGA) 진영을 의식하기도 했다.
한인 커뮤니티에서는 “수백 명이 구금되면서 조지아와 한국의 경제·외교관계가 흔들렸는데도, ‘경제협력 계속하자’는 말로만 덮고 넘어가는 건 무책임하다”며 “공장만 지키고 사람은 안 지키는 건가”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