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에 면담 요청…ICE 단속 이후 한·미 경제협력 균열 우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가 이민세관단속국(ICE)의 한국인 기술자 대거 체포 사태 이후, 현대자동차와의 면담을 요청하며 한국 방문을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AJC에 따르면 조지아 주지사실은 지난 8일 현대차 측에 한국어·영문 이메일을 통해 주지사의 한국 방문과 면담 요청을 전달했다. 이메일에는 “현대차는 조지아주의 중요한 투자자이자 파트너”라는 문구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ICE가 지난 4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317명을 포함한 475명을 단속·체포한 사건 발생 후 나흘 만에 이뤄진 조치다.
조지아 주정부 측은 AJC에 “이번 방한은 9월 4일 이전부터 협의되어 온 일정”이라면서도, “조지아주의 경제·교육·문화 파트너들과의 유대 강화를 위한 목적”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지역 경제계 안팎에서는 이번 방문이 한국 내 부정적 여론을 달래려는 정치적 해명 목적을 띠고 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켐프 주지사의 이번 방한은 그의 세 번째 한국 방문이지만, 이번에는 성격이 다르다고 AJC는 전했다. 한국 내 대미 여론 악화, 투자 위축 우려, 인력 재투입 지연 등 현대차 프로젝트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기 때문이다.
켐프 주지사의 구체적인 방한 일정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10월 28~29일 일본에서 열리는 남부 주지사 국제회의 참석 전후에 한국을 찾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방한에는 트립 톨리슨 서배너 경제개발청장도 포함됐다. 톨리슨 청장은 “우리는 한국인들에게 의지하고 있으며, 그들이 조속히 공장에 복귀하길 바란다”고 말하며, 한국과의 신뢰 회복 필요성을 언급했다.
켐프 주지사는 지난 16일 기자회견에서 “이번 사건은 특정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미국 전체의 비자 제도 문제”라며, “백악관과 비자 시스템 전반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