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속 세균이 부른 ‘조용한 살인자’

“칸디다 포함 24종 구강 미생물, 췌장암과 연관”

구강 내 유해 세균과 곰팡이가 췌장암 발병 위험을 3배 이상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췌장암은 증상이 거의 없어 ‘조용한 살인자(silent killer)’로 불리는 치명적인 암이다.

뉴욕대 의과대학 연구팀은 19일 미국의사협회 종양학 학술지 JAMA Oncology에 발표한 논문에서, 900명의 침 샘플을 채취해 구강 미생물과 췌장암 발병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고 밝혔다.

연구는 미국 내 대규모 장기 건강 연구에 참여한 성인 대상으로 약 9년간 진행됐다. 이 과정에서 연구진은 칸디다(Candida)를 포함한 24종의 세균 및 곰팡이가 췌장암 위험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잇몸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 3종도 췌장암 위험을 높이는 요소로 지목됐다.

연구를 주도한 리차드 헤이즈 박사는 “칫솔질과 치실 사용이 잇몸 질환뿐 아니라 암 예방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공동 저자인 안지영 교수는 “구강 내 세균과 곰팡이 프로파일링을 통해 고위험군을 조기에 식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연구진은 이번 결과가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입증한 것은 아니며, 상관관계 수준의 분석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향후에는 구강 바이러스가 췌장암에 미치는 영향과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이 예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췌장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발견이 어렵고, 진단 시점 대부분이 말기 단계에 이른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 1만 명이 췌장암으로 사망하며, 10명 중 1명만이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로 75세 이상 고령층에서 발병하지만, 최근 25세 미만 여성층에서도 발병률이 1990년대 이후 20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tlanta K Media Illustration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