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만 8% 더 오를 듯…자연재해·재건비 급등 영향
미국 주택 소유자의 보험료가 향후 2년 동안 추가로 16%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자연재해 증가와 주택 재건 비용 상승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된다.
25일 폭스뉴스에 따르면 부동산 분석업체 코털리티(Cotality)는 최근 부동산 콘퍼런스에서 2026년 8%, 2027년 8% 보험료 인상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최근 몇 년간 일부 지역에서는 보험료가 이미 두자릿수 폭으로 오르는 등 급격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존 로저스 코털리티 최고데이터책임자는 “보험료는 지난 몇 년간 가파르게 올랐으며, 주택 소유자의 전체 비용 중 보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 9%로 역대 최고 수준”이라고 말했다.
대니얼 헤일 리얼터닷컴(Realtor.com)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전반적인 물가 상승과 공급망 비용 증가로 재건 비용이 높아지면서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해졌다고” 분석했다.
또한 최근 자연재해가 늘면서 보험사의 손해율이 높아지고 있어 보험료가 더 올라가는 구조라는 진단도 나왔다.
리얼터닷컴 조사에 따르면 미국 주택 중 상당수가 극심한 기후 리스크에 노출돼 있으며 홍수 위험 6% 이상, 강풍 위험 18%, 산불 위험 6% 등의 위협을 받고 있다.
특히 마이애미–포트로더데일–웨스트팜비치 지역에서는 약 3068억달러 규모의 주택 가치가 극심한 홍수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보험료 상승이 이미 침체된 주택 시장에 추가 부담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높은 금리와 집값 상승으로 매수 여력이 떨어진 상황에서 보험료까지 올라 월 주거 비용 산정이 더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리얼터닷컴의 경제분석가 해나 존스는 “보험료 급등은 기존 주택 소유자에게는 예기치 못한 부담이고, 잠재적 매수자에게는 구매 결정을 더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라며 “보험료 상승은 취약 지역에서 주택 수요를 더욱 위축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이재연 보험, 내슈빌서 보험 교육](https://i0.wp.com/atlantak.com/wp-content/uploads/2025/10/563999102_18066453389346689_1732511884245717622_n.jpg?resize=245%2C156&ssl=1)



![[비즈카페] “건강하고 행복한 아침을 전합니다”](https://i0.wp.com/atlantak.com/wp-content/uploads/2025/09/park.jpg?resize=245%2C156&ssl=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