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정책·주택 수요 위축 겹쳐…목재 생산업체 감산
미국의 목재 가격이 한 달 사이 24% 급락하면서, 건설 경기 침체의 전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수요 감소, 무역 불확실성, 관세 정책 강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8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주택 신축 및 개보수 수요 둔화와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정책이 맞물리며 목재 시장에 충격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목재의 주요 수요처인 주택 신축·리모델링 시장에서 수요가 감소하면서 유통망에는 재고가 쌓이고 있다. 미국의 7월 주택 건축 허가 건수는 2020년 6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불확실성을 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산 목재와 낙농 제품에 대해 최대 250%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수입 목재 전반에 국가안보 차원의 관세 부과도 검토 중이다.
현재 캐나다산 연질목재에 대한 반덤핑 및 상계관세는 대부분 15%에서 35%로 인상된 상태다.
수요 둔화는 생산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북미 3위 목재 생산업체 인터포(Interfor)는 미국 남부, 태평양 북서부, 브리티시컬럼비아, 동부 캐나다 소재 제재소의 근무시간 단축 및 휴무 확대를 예고했다.
미국 내에서는 캐나다산 목재 수입을 줄이기 위한 연방 토지 내 벌목 확대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WSJ는 “공급 과잉 해소를 위해 추가 감산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