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 노스캐롤라이나 배터리공장 첫 가동

트럼프 2기 이후 일본 자동차업계 최대 규모 대미 투자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노스캐롤라이나주 리버티시에 건설한 배터리 공장을 12일 공식 가동하며 북미 지역 첫 차량용 배터리 생산에 돌입했다.

이번 공장은 2021년부터 총 140억달러(약 20조6000억원) 를 투입한 대규모 프로젝트로, 도요타의 “현지 생산·현지 판매” 전략이 본격 궤도에 오른 셈이다.

도요타는 이날부터 가동을 시작한 리버티 공장의 14개 생산라인 에서 하이브리드차(H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 (PHEV), 순수 전기차(BEV)용 배터리를 생산한다고 밝혔다.

이는 도요타의 북미 지역 첫 차량용 배터리 생산 사례로, 미국 내 전기차 생산 시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의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최근 북미 전기차 수요가 둔화하는 가운데, 도요타의 강세인 하이브리드 시장은 오히려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북미 하이브리드차 시장에서 도요타의 점유율은 약 50% 에 달한다.

도요타는 이번 공장 가동으로 하이브리드·플러그인차 핵심 부품 자급 체제를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 미국 내 생산 비중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도요타는 공장 가동과 동시에 향후 5년간 100억달러(약 14조7000억원) 추가 투자 계획 도 발표했다.

오가와 데쓰오 도요타 북미법인 CEO는 “이번 조치는 미국 전역에서 지속가능하고 질 높은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것”이라며 “우리가 판매하는 곳에서 직접 생산한다는 철학을 실천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추가 투자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일본 자동차 업계가 밝힌 대미 투자 중 최대 규모로, 도요타의 미국 내 총 투자액은 약 600억달러(약 88조원) 에 달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일본 방문 중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로부터 도요타가 미국 전역에 100억달러 이상을 투자한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번 발표는 해당 발언 이후 도요타가 공식적으로 확인한 첫 사례다.

도요타는 구체적인 투자 항목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일본 경제신문 닛케이는 “기존 공장 업그레이드와 하이브리드차 핵심 부품 생산 확대에 집중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도요타는 이번 투자가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미국 내 생산 확대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수익 구조를 개선하려는 전략적 판단”으로 보고 있다.

도요타는 올해 1∼10월 미국 시장에서 207만대(전년 대비 8% 증가) 를 판매했으나, 4∼9월 북미 지역에서는 1341억엔(약 1조3000억원) 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노스캐롤라이나주 리버티시 배터리공장/Toyota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