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카구치·브렁코·램즈델 공동 수상…자가면역질환·암 치료 가능성 열어
2025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인체 면역체계의 핵심 조절 장치인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의 존재를 규명한 연구자 3인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노벨위원회는 6일 말초 면역 관용(peripheral immune tolerance)의 핵심인 조절 T세포의 발견과 기능을 규명한 공로로 메리 브렁코(64, 미국), 프레드 램즈델(65, 미국), 사카구치 시몬(74, 일본)을 2025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발표했다.
수상자들은 암과 자가면역질환, 장기이식 거부 반응 등에 대한 치료법 개발에 획기적인 기초를 제공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우리 몸의 면역 체계는 병원균 등 외부 침입자를 공격하는 강력한 시스템이지만, 조절 기능이 상실될 경우 자가면역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 면역의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것이 조절 T세포다.
기존에는 이러한 면역 관용이 흉선(가슴샘)에서만 일어나는 ‘중추 면역 관용’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세 수상자의 연구로 체내 말초 조직에서도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말초 면역 관용’이 존재함이 밝혀졌다.
노벨위원회는 “이들의 연구는 왜 대부분의 인간이 자가면역질환에 빠지지 않는지를 설명하며, 인체 면역의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 기여를 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의 시작은 사카구치 시몬 오사카대 석좌교수의 1995년 조절 T세포 발견에서 비롯됐다. 이후 브렁코와 램즈델은 2001년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하는 유전자 변이를 밝혀냈고, 사카구치는 2003년 이 두 가지 발견을 연결해 조절 T세포의 실체와 기능을 통합적으로 설명해냈다.
이 발견은 향후 암 면역치료, 자가면역 질환 억제, 장기이식 성공률 향상 등 다양한 의학적 응용의 기초가 됐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116번째 수상으로, 상금은 총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6억4000만원)이며 세 명이 균등하게 나눠 받는다. 사카구치는 수상 직후 “믿을 수 없는 영광”이라고 소감을 밝혔으며, 미국 수상자 2인에게는 시차로 인해 통보 메시지만 남겨진 상태다.
한편 노벨상은 7일 물리학상, 8일 화학상, 9일 문학상, 10일 평화상, 13일 경제학상 순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