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P-1 당뇨·비만약, 대장암 사망 위험 줄인다

UC샌디에이고 연구팀 “비만 관련 암 생존율 향상 가능성…임상시험 필요”

오젬픽(Ozempic), 위고비(Wegovy), 마운자로(Mounjaro) 등으로 알려진 GLP-1(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수용체 작용제 계열 당뇨·비만 치료제가 대장암 환자의 5년 내 사망 위험을 60% 이상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UCSD) 의대의 라파엘 쿠오모 교수 연구팀은 11일 학술지 ‘캔서 인베스티게이션(Cancer Investigation)’ 에 발표한 논문에서 UC 의료기관 소속 대장암 환자 6871명의 임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GLP-1 치료제 사용이 대장암 사망률을 현저히 낮추는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GLP-1 치료제를 복용한 그룹의 5년 내 사망률은 15.5%, 복용하지 않은 그룹은 **37.1%**로 두 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나이, 체질량지수(BMI), 질병 중증도 등 변수를 보정한 결과, **사망 위험 감소 효과는 62%**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특히 BMI 35㎏/㎡ 이상 고도비만 환자에서 이 효과가 가장 뚜렷했다고 밝혔다.

이는 GLP-1 작용제가 단순한 혈당 조절뿐 아니라, 염증 완화·대사 개선·체중 감소 등을 통해 암 진행을 억제하는 간접적 보호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실험실 연구에서는 GLP-1 약물이 암세포 성장 억제, 세포 자멸사(아포토시스) 유도, 그리고 종양 미세환경 변형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보고된 바 있다.

다만 쿠오모 교수는 “이번 연구는 관찰 연구(observational study)로,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입증한 것은 아니다”라며 “GLP-1 약물이 암세포 자체를 억제하는지, 아니면 체중·대사 개선을 통한 간접 효과인지 규명하려면 대규모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GLP-1 수용체 작용제가 비만 관련 암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잠재력이 크다”며 “앞으로 항암 보조요법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노보 노디스크의 비만치료제 ‘위고비’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