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 만의 태양 폭풍’ 지구에 미치는 영향?

천문연 “지난해 강력한 태양풍 지구에 도달…올해는 태양 극대기”

지난해 5월 10일 발생한 오로라
지난해 5월 10일 발생한 오로라 한국천문연구원이 미국 애리조나 레몬산에서 자체 운영 중인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 시스템(OWL-Net)을 이용해 촬영한 오로라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 연구진이 지난해 약 21년 만에 발생한 가장 강력한 태양 폭풍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은 국내외 최신 위성과 지상 관측 시스템을 통해 지난해 5월 10∼12일 발생한 G5 등급 지자기 폭풍을 관측해 그 원인과 물리적 원리를 분석했다고 13일 밝혔다.

당시 가장 강력한 수준인 G5 등급의 지자기 폭풍이 지구에 도달하면서 독일·스위스·중국·영국·스페인·뉴질랜드 등 전 세계에 보라색·녹색·노란색·분홍색 등을 띤 오로라가 나타났다.

지자기 폭풍 강도는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우주기상예측센터(SWPC)에 의해 G1(약함)부터 G5(극심함) 단계로 나뉘는데, G5 등급의 지자기 폭풍이 지구를 강타한 것은 2003년 10월 이후 처음이다.

태양 플레어 생성 과정
태양 플레어 생성 과정 미국 항공우주국(NASA) SDO 위성의 ‘HMI’ 필터로 촬영한 광구의 밝기(왼쪽)와 자기장 분포(오른쪽)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 1월 1일에도 G4급 지자기 폭풍이 일어났다.

올해는 11년 주기로 반복되는 태양활동 중 태양 극대기(정점)에 해당하는 해로, 태양의 자기장이 강해지고 태양 표면에서의 흑점 활동이 활발해진다.

지자기 폭풍으로 인한 지구 자기권의 변화는 위성체 손상과 오작동·궤도 변이, 위성통신·지상무선통신 교란, 위치정보시스템(GPS) 오차 증가, 지상 전력망 손상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천문연 분석 결과 당시 지자기 폭풍은 X급(가장 강한 등급) 태양 플레어(태양 표면에서 강력한 폭발이 일어나며 전자기파와 하전 입자를 쏟아내는 현상)와 여러 차례의 코로나질량방출(CME·태양의 바깥 대기인 코로나에서 행성 간 공간으로 폭발적으로 분출되는 플라스마와 자기장)이 원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지난해 5월 9일 나타난 X2.2급 플레어가 주요 CME를 발생시켰고, 이전에 만들어진 CME와 합쳐져 강력한 태양풍이 지구 궤도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지구 고위도 상층 대기에 에너지 유입이 증가하면서 지구 열권(지구 대기의 최상층부)이 가열되고 전리권(지구와 가장 가까운 지구 자기권의 안쪽영역)의 전자 밀도가 변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