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NASA 최고의 한 해로 역사책에 기록될 것”

달 로켓 발사부터 웹 망원경 이미지, 소행성 충돌 실험 등 성과 즐비

오리온을 탑재하고 발사되는 SLS
오리온을 탑재하고 발사되는 SLS [NASA 제공]

항공우주국(NASA)이 2022년을 NASA 역사상 가장 많은 성과를 낸 한 해로 꼽았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13일 직원들과의 타운홀 미팅에서 달 로켓 발사부터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 가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성과를 언급하며 “2022년이 환상적인 한 해였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NASA 미션 전 분야에 걸쳐 가장 많은 성과를 낸 해 중 하나로 역사책에 기록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 미션은 당초 계획보다 많이 늦어지며 예산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던 것이어서 이런 성과는 더욱 크게 다가왔다.

웹 망원경이 우주 먼지ㆍ가스를 걷어내고 포착한 '우주절벽'(Cosmic Cliffs) 이미지
웹 망원경이 우주 먼지ㆍ가스를 걷어내고 포착한 ‘우주절벽'(Cosmic Cliffs) 이미지 [NASA, ESA, CSA, and STScI 제공]

인류 최초로 소행성에 충돌해 궤도를 바꾼 ‘쌍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 우주선과 화성에 우주비행사를 보낼 때 이용될 팽창식 열 방패 기술인 ‘지구 저궤도 비행시험 팽창감속기'(LOFTID) 실험도 성과로 들었다.

이밖에 저소음 초음속항공기 X-59와 전기배터리 항공기 X-57 등 항공기술 개발과 민간기업 및 다른 나라와의 협력 증진도 올해의 중요한 성과로 꼽았다.

넬슨 국장은 “2023년에도 고대할 것이 많다”면서 웹 망원경의 더 놀라운 발견과 기후변화 미션을 통해 알게 될 지구의 변화, X-59 등이 이룰 획기적인 항공 기술 발전,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반세기 만에 달에 착륙할 우주비행사 선발 등이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내년에는 소행성 ‘베누'(Bennu)의 시료를 채취해 귀환 중인 ‘오시리스-렉스'(OSIRIS-REx)가 9월 24일 시료 통을 유타주 사막에 떨굴 예정이어서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과학자들은 이 시료를 정밀 분석하고, 일본이 소행성 류구에서 가져온 시료 분석 결과와 비교해 태양계 형성 초기 물질에 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