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관세 전액 지원액 2조원 육박…부품업계와 지원 방식 논의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미국에 납부한 관세를 1차 협력사에 전액 지원하기로 하면서, 총 지원 규모가 약 2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현대차‧기아의 미국 내 3개 공장이 본격 가동되면서 부품 매입액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현대차와 기아의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의 올해 1~3분기 부품 매입액은 9조9917억원이다. 미국이 4월부터 관세를 부과한 점을 감안하면, 2~3분기 매입액은 6조7144억원으로 집계된다. 같은 기간 기아 조지아 공장은 6조7467억원,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는 1조9687억원 규모의 부품을 매입했다.
관세 부과 이후 3개 공장의 총 부품 매입액은 15조원을 넘는다. 여기에 관세율 25%를 적용하면 부담액은 약 3조7500억원이지만, 현지 조달 비중(48% 수준)을 반영할 경우 실제 관세 부담액은 2조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현대차그룹은 현재 300여 개 1차 협력사와 세부 지원 방식 협의를 진행 중이다. 부품업계는 각 업체의 관세 부담액을 취합해 향후 납품단가에 반영하는 방식이 유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지원 규모는 협력사의 신청 금액에 따라 확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재원 마련도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차와 기아의 작년 순이익은 각각 13조2299억원, 9조7750억원이며, 올해 예상 순이익 역시 각각 10조원대와 7조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3분기 기준 현대차와 기아의 현금성 자산도 각각 17조8611억원, 13조5835억원에 달한다.
또한 한미 정부 간 합의로 관세율이 25%에서 15%로 낮아지면서 연간 4조4000억원 이상의 비용 절감 효과가 발생할 전망이다. 다올투자증권은 관세 15% 적용 시 현대차의 연간 비용이 6조원에서 3조6000억원으로, 기아는 5조원에서 3조원으로 줄어들 것으로 계산했다.
미국의 ‘수입 조정 상쇄(IAO)’ 제도 활용도 가능한데, 미국에서 최종 조립된 차량은 MSRP의 최대 3.75%까지 관세 환급을 받을 수 있다. 현대차그룹의 평균 MSRP(3만9000달러)를 기준으로 차량 1대당 약 1463달러(약 205만원)를 돌려받을 수 있어, 현지 생산 차량의 관세 부담 대부분을 상쇄할 것으로 분석된다.










![[포토뉴스] 이재연 보험, 내슈빌서 보험 교육](https://i0.wp.com/atlantak.com/wp-content/uploads/2025/10/563999102_18066453389346689_1732511884245717622_n.jpg?resize=245%2C156&ssl=1)



![[비즈카페] “건강하고 행복한 아침을 전합니다”](https://i0.wp.com/atlantak.com/wp-content/uploads/2025/09/park.jpg?resize=245%2C156&ssl=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