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매장내 절도 급증…소매점 울상

매출액의 1.4%…소매업체 경영에 직접적인 부담 줄 정도 심각

매장내 경비원수 감소·상품부족탓 장물가격 올라 절도 부채질

조직적 절도 피해를 이유로 샌프란시스코 매장을 폐쇄한 약국체인 월그린스 로고
조직적 절도 피해를 이유로 샌프란시스코 매장을 폐쇄한 약국체인 월그린스 로고 [AP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미국 내에서 급격하게 확산한 매장 내 절도 탓에 소매업체들의 손실이 천문학적인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 미국소매협회(NRF)를 인용해 지난해 소매업계의 재고자산 감모손실액이 945억 달러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미국 소매업계의 전체 매출액의 1.4%에 달하는 액수다.

WSJ은 미국 소매업계의 재고자산 감모손실의 이유는 대부분 도난이라고 전했다.

상품 도난은 소매업계의 고질적인 문제였지만, 코로나19 사태를 기점으로 급격하게 증가했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2019년까지 5년간 재고자산 감모손실액은 연평균 7%가량 증가했지만,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에는 한 번에 47%가 늘었다.

코로나19 탓에 매장 내 경비원이나 직원의 수가 줄어든 것이 절도 급증의 원인으로 꼽힌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의 혼란으로 인한 상품 부족 현상이 전체 장물의 가격을 높인 것도 절도를 부채질한 요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문제는 지난해에도 개선되지 않았기 때문에 감모손실액은 다시 4%가 늘었다는 설명이다.

현재 미국에서 발생하는 매장 내 도난은 소매업체들의 경영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줄 정도로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형 유통업체인 타깃의 경우 올해 3분기까지 재고자산 감모손실로 인해 매출 총이익이 4억 달러(약 5천100억 원) 이상 줄었다고 밝혔다.

할인판매업체인 달러트리는 물가상승과 함께 재고자산 감모손실이 영업이익률을 1% 깎아내렸다고 밝혔다. 달러트리의 영업이익률이 5.5%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경영에 부담이 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약국 체인 월그린스는 지난해 10월 ‘조직적인 절도’를 이유로 샌프란시스코 내 매장 5곳의 폐쇄를 결정했다.

또한 홈디포, 베스트바이, CVS 등 주요 유통체인 최고경영자들은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직적인 범죄에 대응을 촉구하는 서한을 연방의회에 보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