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10%p 낮춰…일본 5500억달러 대미 투자
미국과 일본이 상호관세를 15%로 낮추는 데 전격 합의했다. 이에 따라 일본산 자동차에 부과되던 25% 관세는 절반 수준으로 인하된다. 일본은 이번 합의의 일환으로 미국에 5500억달러, 한화 약 760조원의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2일 “일본과 역사상 최대 규모의 거래를 마무리했다”며 “일본은 미국에 5500억달러를 투자하고, 미국은 이 수익의 90%를 가져가게 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합의가 수십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며 “이와 같은 전례는 없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당초 일본산 제품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예고했으나, 최종 합의에서는 이를 15%로 낮췄다. 이 수치는 미국이 기존에 교역 협정을 맺은 국가들 중 영국(10%)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준이다. 미국은 최근 베트남(20%), 인도네시아(19%), 필리핀(19%)과도 관세 합의를 진행한 바 있다.
일본은 자동차·트럭·쌀·농산물 등 주요 품목에 대한 교역을 개방하고, 알래스카에서는 액화천연가스(LNG) 개발을 위한 미일 합작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매우 흥분되는 시점을 맞고 있으며, 일본과의 훌륭한 관계를 이어갈 수 있어 더욱 의미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번 협상의 일본 측 당사자인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23일 기자회견에서 “국익을 걸고 양국이 전력을 다해 협상에 임했다”며 “향후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으로부터 보고를 받고 내용을 면밀히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NHK는 이번 합의에 따라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25%에서 절반인 12.5%로 낮아지고, 기존 2.5%를 더해 최종 15%로 조정됐다고 보도했다.
노무라종합연구소의 기우치 다카히테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관세가 25%일 경우 일본 GDP는 0.85%포인트 감소하지만, 15%일 경우 감소폭은 0.55%포인트로 줄어든다”고 분석하며 “일본 경제에 대한 충격은 완화됐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합의의 세부 내용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일본 측의 구체적 양보안은 공개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