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의 방향을 긴축으로 튼 지 1년이 넘었지만, 미국 경제는 아직 경기침체 조짐 없이 활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향후 12개월 이내에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경제학자들은 자사 설문조사에서 과반이었다.
이 같은 상황은 지난해 10월부터 계속되고 있지만, 실제 미국 경제는 경제학자들의 경고와는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모양새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의 5월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미국인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5000억 달러(약 655조 원)를 초과 저축했다.
코로나19 대응 차원에서 정부가 적극적인 재정지출 정책을 폈지만, 막상 미국인들은 팬데믹 기간 돈 쓸 곳을 찾기가 만만치 않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두꺼워진 미국인들의 지갑은 40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 속에서도 미국인이 마음껏 소비를 하도록 돕는 자금원이 됐다.
특히 미국인들은 여행과 공연 관람, 외식 등 코로나19 사태 당시 제한됐던 소비를 하는 데 아낌없이 지갑을 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여행 예약 사이트인 프라이스라인의 최고경영자(CEO)인 브렛 켈러는 “비행기표와 호텔 숙박비 상승에도 여행의 수요가 늘어 놀랐다”고 말했다.
연방 교통안전청(TSA)에 따르면 5월 말 미국의 메모리얼 데이 연휴 기간 미국 내 공항 이용객은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의 수치를 넘어섰다.
고용시장도 금리 인상과 상관없이 활황세를 유지하고 있다.
노동부의 5월 고용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비농업 일자리는 33만9천 개 증가했다.
전문사무서비스업(6만4천 개), 정부 공공직(5만6000개), 보건의료업(5만2000개), 레저·접객업(4만8000개) 등 코로나19 사태 초반 일손 부족 현상이 발생한 분야에서 고용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공공분야의 고용은 아직 코로나19 이전 상태를 회복하지 않은 상황이다.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고용시장의 상황은 노동자의 임금 인상으로 연결됐다.
금리 인상에도 미국인들의 소비가 크게 줄지 않으면서 주식과 주택 시장도 안정화되는 분위기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연준의 금리 인상에 따라 2021년 12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25%나 하락했지만, 이후 20% 가까이 회복했다.
미국의 주택 판매량도 지난해 급감했지만, 올해 1월부터는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주택 공급 부족이 가격 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활발한 미국의 경제 상황은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둔 연준의 판단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일부 연준 위원들은 6월에 금리를 동결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지만, 시장 일각에선 연준이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올릴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연준은 10회 연속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 금리 상단을 지난해 3월 0.25%에서 지난달 5.25%까지 끌어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