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자 수 급증해도 조회수는 ‘수백 회’…조작 의혹 제기
유튜브 채널 구독자를 돈으로 사고파는 사례가 확산되면서 한인사회에서도 구독자 수만 비정상적으로 많은 이른바 ‘유령 채널’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구독자는 수만에서 수십만이지만 영상 조회수는 몇백 회에 그치는 채널이 늘면서 구독자 조작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한국의 한 유튜버가 해외 플랫폼을 통해 구독자 100만에서 300만 규모의 채널을 약 900만원에 구매했다고 공개한 사례가 알려지면서 채널 거래 실태가 드러났다.
거래된 채널 상당수는 ‘불펌 쇼츠’나 ‘낚시형 구독 요청’을 통해 빠르게 확대된 뒤 알고리즘이 꼬여 성장성이 사라진 계정으로 파악됐다.
또한 주로 인도 국적의 업체들이 수만에서 수십만개의 허위(대포) 지메일(G-Mail) 계정을 바탕으로 유튜브 채널 구독자를 순차적으로 늘려주는 서비스를 유료로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유튜브 생태계 전반에서 문제로 지목되고 있다. 유튜브 운영업체인 구글은 구독자·조회수·좋아요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행위를 명확히 금지하고 있으며, 조작된 채널은 추천 알고리즘에서 제외되거나 광고 수익 자격이 박탈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구독자 거래가 플랫폼 신뢰를 훼손하고 광고 시장까지 왜곡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구독자 수만 높은 채널이 협찬·광고 단가를 높게 요구하는 경우 실제 영향력과 괴리가 생기면서 브랜드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유튜브 마케팅 전문가들은 시청 지속시간, 참여율, 댓글 비율 등 실제 활동 지표를 기반으로 채널을 평가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구독자 수가 많은데도 조회수와 참여가 거의 없다면 조작이 의심되는 전형적인 패턴이라는 것이다. 이런 채널은 동영상이 노출되는 알고리즘에 불이익을 받기 떄문에 마케팅 효과도 거의 없다.
한인사회 미디어 시장에서도 영향은 불가피하다. 구독자를 인위적으로 부풀린 채널이 늘면 한인 유튜브 생태계 전반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정상적으로 성장하는 창작자들이 역차별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또 광고주들이 유튜브 홍보 자체에 회의감을 갖게 될 경우 지역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애틀랜타에서 영어 교육채널을 운영하는 한인 업주는 “채널을 돈으로 구매하거나 인위적으로 구독자를 확보하는 방식은 단기적으로는 채널의 규모를 키우게 되지만 결국은 채널을 망치는 지름길”이라며 “한인사회에서는 특히 투명성과 신뢰가 중요하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튜브는 조작 행위를 적발할 경우 관련 채널에 제재를 가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으며,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위반이 반복될 경우 채널 삭제 조치도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