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일대 “가구당 2400달러 손실 예상”
대규모 상호관세 조치가 8월 7일부로 발효되면서, 생활필수품을 중심으로 한 소비자들의 사재기 현상이 본격화되고 있다.
6일 언론들에 따르면 기저귀뿐 아니라 세제, 학용품 등 수입 의존도가 높은 생필품의 매대가 빠르게 비워졌다. 기저귀 시장은 P&G와 킴벌리클라크가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수입 원자재 비중이 높아 관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세제 제품 역시 주요 원료인 계면활성제와 효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마찬가지로 관세의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
관세를 피하려는 소비자들의 움직임은 학용품 수요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뉴저지 패러머스 지역의 타깃(Target) 매장 관계자는 “예년보다 한 달 이상 빠른 시점인 6월 말부터 학용품을 구입하려는 학부모들이 몰려들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분위기에 기업들은 오히려 ‘관세 프리’ 마케팅에 나섰다. 닛산은 미국 내에서 판매 중인 일부 차량 모델이 관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며 광고에 활용하고 있다.
한편,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이번 관세 조치가 미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에 대한 경고를 내놨다. 연구소에 따르면 새롭게 적용되는 평균 실효 관세율은 18.4%로,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 시행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이같은 관세 수준이 유지될 경우 미국 가계는 평균 2400달러의 실질소득 감소를 겪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단기적으로 1.8%포인트의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미국 GDP 성장률은 올해와 내년에 각각 0.5%포인트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관세가 일시적 보호 효과를 줄 수는 있어도, 장기적으로는 소비 위축과 고용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AP 연합뉴스 자료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