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애틀랜타 뉴스 미국 정보 Atlanta K

“관세 폭탄에 식품업계 가장 큰 타격”

업계 “수산물·농산물은 면제 필요”…수입 의존 높은 새우·과일·채소 급등 우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이 미국 식품업계를 강타하면서, 업계가 수산물·채소·과일 등 주요 품목에 대해 관세 면제를 요구하고 나섰다.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들이 포함되면서 가격 급등과 소비자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이유다.

24일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수산물 무역 조합인 미국수산협회(NFI)는 “수산물은 다른 식품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며 전면 면제를 요구했다. 실제로 미국은 전체 수산물 소비량의 85%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새우의 경우 90%를 해외에서 들여온다. 특히 인도에서만 전체 새우 수입의 3분의 1을 차지하는데, 인도에 관세 50%가 부과되면 가격이 폭등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미국의 수산물 무역적자는 240억 달러(약 33조원)에 달했다. 업계는 어획량이 이미 한계에 달했고, 규제로 양식업 확대도 어려워 관세 부담을 고스란히 소비자가 떠안을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농산물 무역단체인 국제신선농산물협회(IFPA) 역시 “과일과 채소는 대부분 멕시코·페루·캐나다 등에서 수입된다”며 관세 제외를 요구했다. 미국의 과일·채소 수입액은 연간 360억 달러(약 50조원)에 달한다.

식품산업협회(FMI)는 보고서에서 “오이의 경우 9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를 모두 국내에서 재배하려면 온실 재배가 불가피해 가격이 크게 오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미요식업협회(NRA)도 무역대표부에 서한을 보내 “제철 식재료에 관세가 부과되면 음식 가격이 급등할 것”이라며 “식음료는 미국의 적자 품목이 아닌 만큼 면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세 면제 신청 절차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 업계의 요구가 쉽게 받아들여지기는 어렵다는 것이 법조계의 전망이다. 그러나 일부 품목은 예외 적용 가능성이 있다.

미국은 브라질에 관세 50%를 부과했지만 오렌지주스·브라질너트 등 일부 식품은 예외를 인정했다. 멕시코·캐나다 역시 USMCA 협정에 따라 고율 관세 유예 대상이 된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도 최근 “커피, 망고, 파인애플 등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는 품목은 관세 예외를 둘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관세 폭탄이 식품 물가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 기조는 계속될 전망이다. 소비자브랜드협회의 톰 매드레키 부회장은 “1990년대식 자유무역 회복을 주장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며 “보호무역은 정치·경제적으로 되돌릴 수 없는 흐름”이라고 말했다.

식품점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