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우크라이나 군사원조가 거론되지 않은 데 대해 외신들도 주목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27일 한미 정상이 전날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과 공동성명 등에서 “우크라이나 군사 원조에 대한 언급을 피했다”고 평가했다.
앞서 미 공군 주 방위군 소속 잭 테세이라 일병이 유출한 미 정부 기밀문서에는 한국 정부가 미국으로부터 포탄 제공 요청을 받고 해당 판매분이 우크라이나에서 사용될 것을 우려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논란이 일었다.
실제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국 정상은 인도적 지원 등을 통해 우크라이나를 지속해서 지지할 것이라면서도 군사 지원 문제는 직접적으로 논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은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면서 “그동안 정부가 공식적으로 견지해온 원칙과 입장에서 변화는 없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우크라이나 전쟁의 당사자인 러시아의 타스 통신은 이날 연합뉴스 보도를 인용해 “윤석열 한국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워싱턴 회담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한국의 무기 공급 문제를 논의하지 않았다”며 관련 상황을 비중 있게 보도하기도 했다.
AP 통신은 “바이든 행정부는 한국이 키이우에 약 2억3000만 달러(약 3084억원)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제공한 데 대해 찬사를 보냈다”면서 “하지만 바이든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를 격퇴하는 데 한국이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을 환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일각에서는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가능성을 아예 배제한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미 정상은 전날 공동성명에서 “필수적인 정치, 안보, 인도적, 경제적 지원 제공을 통해 우크라이나를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명시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앞서 지난 19일 공개된 로이터 인터뷰에서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공격 등이 발생하면 인도주의적, 경제적 차원 이상의 지원으로 확대할 수 있다고 언급, 무기 지원 반대 입장에 대한 변화를 시사한 바 있다.
이를 두고 러시아가 강력 반발한 가운데 윤 대통령은 24일 보도된 워싱턴포스트(WP) 인터뷰에선 우리나라와 전쟁 당사국 간 여러 직·간접적인 관계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며 신중론을 보였으나, 이어 보도된 NBC 방송 인터뷰에선 “살상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해야 할 때가 된다면, 한국이 국제사회의 노력을 외면하는 상황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