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애틀랜타 뉴스 미국 정보 Atlanta K

현대차그룹, 미국 전기차 수출 88% 급감

판매부진, 현지생산 전환 등 겹쳐 한국내 생산기반 흔들

현대차·기아의 미국 전기차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무려 88%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내 판매 부진과 현지 생산 전환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며, 국내 전기차 생산기반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22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이 올해 1~5월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는 7156대로 전년 동기(5만9705대) 대비 88% 감소했다.

현대차는 3906대(87.0% 감소), 기아는 3250대(89.1% 감소)를 각각 수출하는 데 그쳤다.

이 같은 수치는 전동화 전략이 본격화한 2021년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연간 기준으로 2021년 1만9820대에서 2023년 12만1876대까지 늘어난 수출량은, 올해는 2만대 돌파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전기차 수출 감소는 미국 내 판매 부진과 함께, 현지 생산 전환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미국 조지아에 완공된 ‘메타플랜트’를 통해 아이오닉5, 아이오닉9 등 현지 생산을 시작했으며, 기아도 EV6, EV9 현지 생산에 나선 상태다.

그러나 미국 내 판매량도 감소세다. 시장조사기관 워즈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올해 상반기 미국에서 4만4555대의 전기차를 판매했으며, 이는 작년 동기 대비 28% 감소한 수치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 중인 ‘OBBBA’ 법안으로 인해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가 오는 9월 말 종료될 예정이어서 하반기 실적은 더욱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한경협 보고서에 따르면, 세액공제가 종료되면 현대차그룹은 미국 시장에서 최대 4만5828대(약 2조7200억원 규모)의 판매 감소가 예상된다.

실제 생산 현장도 영향을 받고 있다. 현대차는 7월 16일부터 21일까지 울산1공장 내 전기차 라인 가동을 중단했다. 이는 올해만 다섯 번째 휴업이다.

자동차 부품업계 관계자는 “미국 수출을 기대하고 설비 투자를 진행했는데, 실적이 급감하면서 투자금 회수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미국에 동반 진출하지 못한 중소 부품사들은 더 큰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조지아 메타플랜트 공장에 세워진 아이오닉9/현대차 제공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