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애틀랜타 뉴스 미국 정보 Atlanta K

트럼프 때문에?…애틀랜타 30년만에 인구 감소

WSJ “트럼프 정책에 남부 선벨트 대도시들 직격탄”

관세·이민단속·고물가·인프라 부재 등 복합요인 탓

남부 지역의 대표 도시인 애틀랜타가 30년 만에 인구 감소세로 전환되며 지역 성장의 경고등이 켜졌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과 이민 단속 강화, 부동산 가격 상승, 인프라 미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20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애틀랜타가 지난해 1330명 인구가 줄어든 데 이어, 올해 들어 감소 폭이 더욱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애틀랜타 메트로 지역은 조지아주 23개 카운티를 포괄하며 인구 약 630만명에 달하는 대도시권이다.

지난 수십 년간 급격한 도시 확장을 보여왔던 애틀랜타는 외국 제조업체들의 투자 위축과 고용 부진, 부동산 가격 급등에 따라 인구 정체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애틀랜타는 2000년 이후 보수적 백인 고령층 중심에서 다인종 젊은층 중심의 진보 성향 도시로 변화, 2020년 대선 당시 바이든 전 대통령이 조지아주를 승리로 이끈 핵심 동력 중 하나였다.

그러나 2025년 들어 인구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일부 기업들은 조지아주 투자 축소 또는 철수를 결정했으며, 해외 본국이나 미국 타 지역으로 이전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부품 수입 단가 상승으로 인해 미국 내 제조업 생산비를 급등시켰고, 이로 인해 외국계 기업들의 조지아 투자 매력이 급감했다. 고용 정체와 실업 증가가 뒤따르며, 이직과 이주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연방 이민세관단속국(ICE)에 의한 불법 이민자 단속 강화는 저임금 근로자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업과 소규모 창업 생태계에 직접적인 타격을 입혔다. 외국인 전문인력의 유입도 사실상 중단되면서 벤처기업과 스타트업 성장도 둔화되고 있다.

오랜 기간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교통·지하철 등 인프라 확충에 소극적이었던 주정부 정책도 문제로 지적된다. 도심과 교외를 잇는 도로망 부족으로 심각한 교통체증이 일상화되며 중산층 이상 백인들의 외곽 이주가 가속화되고 있다.

WSJ는 “애틀랜타뿐만 아니라 애리조나 피닉스, 플로리다 탬파베이, 앨라배마 몽고메리 등 선벨트 핵심 도시들이 비슷한 침체 국면에 들어섰다”며, “이 추세가 지속되면 미국 남부는 21세기 이전의 저성장 시대로 회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승은 기자
애틀랜타 국제공항.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