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본부 기후변화대사를 신속대응팀 단장으로 파견
미국 9개 총영사 가운데 애틀랜타 등 4곳 3개월째 공석
조지아주 현대차-LG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벌어진 대규모 이민 단속 사태와 관련해, 주미대사와 애틀랜타 총영사 모두 공석인 상황에서 한국 외교당국의 대응이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E4(전문인력) 비자 신설 등 제도 개선과 함께 외교 현장 인력 공백 해소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조현 외교부 장관은 8일 워싱턴 DC에 도착했다.
조 장관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등 미국 정부 고위 인사와 면담을 갖고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들의 자진 출국 절차 마무리, 이들의 향후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 최소화, 한국 기업 대상 비자 제도 개선 등을 요구할 예정이다.
현장 외교 대응은 조기중 주미대사관 총영사가 애틀랜타로 급파돼 맡고 있으며 외교부는 정기홍 기후변화대사를 단장으로 한 신속대응팀을 파견했다.
현재 미국 내 한국 총영사관 9곳 중 뉴욕, 호놀룰루, 휴스턴, 애틀랜타를 포함해 4곳이 공석 상태다.
뉴욕과 휴스턴의 경우 윤석열 전 대통령의 측근들이 특임 총영사로 임명돼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교체된 케이스이고 애틀랜타 총영사는 정년으로 귀임했다.
서상표 애틀랜타 전 총영사는 지난 6월 퇴임했고 이후 3개월간 조지아주를 포함한 동남부 지역을 직접 관할할 외교 라인이 부재한 상황이 장기화되고 있다.
특히 부총영사도 지난 8월 중순에야 임명돼 2개월 간은 총영사와 부총영사가 모두 공석이어서 4급 영사가 대리 총영사를 맡는 초유희 사태가 빚어졌다.
주미대사로 내정된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도 아직 아그레망 절차(주재국 동의)가 완료되지 않아 부임하지 못하고 있다.
지역 한인들은 “미국 내에서 가장 한국기업의 투자가 많아 경제통상 분야의 외교 필요성이 높고 주재원과 가족 등 재외동포 보호도 어느 곳보다 절실한 지역인데 3개월 넘게 총영사가 공석인 상황이 이해되지 않는다”면서 “앞으로도 단속이 이어질텐데 하루라도 빨리 총영사를 임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