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FBI 등 합동 수사…현장 체포자 발생, 불법고용·노동 착취 혐의
한인 하청업체 연루 여부 촉각…“조지아 일자리 보호 위해 단속 강화”
현대자동차 그룹이 미국 조지아주 브라이언카운티에 건설 중인 전기차 배터리 메가공장에서 4일(목) 대규모 연방 이민단속이 전개돼 현장에서 체포자가 발생하고 공사 작업이 즉각 중단됐다.
WCJL 채널 22 등 현지 방송과 한인 업체 관계자들에 따르면 연방 국토안보부 산하 이민세관단속국(ICE)의 ‘국토안보수사국(HSI)’이 주도한 이번 작전은 불법고용 및 연방법 위반 혐의에 대한 압수 수색영장을 근거로 한 본격 수사로 확인됐다.
ICE는 공식 성명을 통해 “이번 수사는 조지아의 일자리를 보호하고, 법을 준수하는 기업을 위해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며, 노동 착취를 막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 체포자 발생…수사 범위 확대 가능성
브라이언카운티 현대차 배터리 메가사이트는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사인 HL-GA 배터리 컴퍼니가 건설 중으로 이날 HL-GA 측은 “당국의 조사를 지원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건설을 중단했다”는 성명을 냈다.
ICE 관계자는 수사 내용이 “불법 고용 관행”에 집중돼 있다고 밝혔으며, 체포자가 발생했음을 인정했지만 체포 인원이나 구체적 혐의에 대해서는 공식 발표를 5일로 연기했다.
현장에는 조지아 주경찰, 연방 국세청(IRS), 마약단속국(DEA), 연방수사국(FBI), 연방노동부 감찰국, 세관국경보호청(CBP), 주방위군 항공대까지 합류해 대대적인 협력 수사 체제를 구축한 것으로 확인됐다.
◇ 하청업체 통해 고용된 외국인 노동자 단속 집중
이번 수사는 현대차 또는 LG에너지솔루션 본사 차원의 직접 고용 인력보다는, 하청업체를 통한 외국인 노동자 고용 관행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부 하청업체가 H-2B나 B1 비자를 활용해 전문직 또는 일시직으로 입국시킨 외국인들을 단순노동에 투입했을 가능성에 대해 당국이 수사 중이다.
현장에서는 신분 검문과 체포자 이송을 위해 연방 수송버스 배치, 주방위군 항공 지원, 주요 출입구에 대한 경찰 차단 등이 이어지며 긴장감이 고조됐다. 일부 작업자들은 “예고 없이 진행된 단속으로 공사 일정에 심각한 차질이 생겼다”며 불만을 표했다.
◇ 지역 정치권·경제계 파장 우려
현대차의 조지아 전기차 메가사이트는 총 55억달러가 투입되는 미국 내 최대 규모 전기차 생산단지 중 하나로, 약 8000여 명의 고용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돼 왔다. 브라이언카운티를 포함한 조지아 주정부 및 지방정부는 이를 위해 대규모 인센티브를 제공해왔으며, 브라이언 캠켐프 주지사도 “조지아 일자리 창출의 상징적 사업”이라며 전폭적인 지지를 표명해 왔다.
그러나 이번 단속으로 인해 현대차-조지아 간의 신뢰에 금이 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조지아 주정부와의 계약서상 노동 기준 준수 조항이 포함돼 있을 경우, 향후 보조금 회수 또는 행정조치로 이어질 가능성도 존재한다.
◇ 조지아 내 한인 하청업체 연루 가능성 촉각
지역 한인 업계에서는 이번 단속의 대상에 일부 한인 하청업체가 포함됐는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실제로 과거에도 현대차 및 기아차 조지아 공장 건설 과정에서 일부 하청업체가 불법 체류자 고용, 임금 미지급 등 문제로 연방 수사 대상이 된 바 있어, 이번 사태가 한인 업체들의 관리·책임 문제로 번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민 변호사들은 “이번 수사는 단순히 개별 고용 문제를 넘어선 연방 차원의 ‘노동범죄 단속 캠페인’ 성격이 강하다”며, 조지아 내 대형 산업 현장을 중심으로 유사 수사가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