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팀 “자연 풍경이 뇌의 통증 반응 완화”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자연 풍경을 바라보는 것이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심지어 가상 자연 비디오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영국 엑서터대학교와 오스트리아 빈대학교 연구팀이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실험 참가자들이 자연 풍경을 볼 때 통증을 덜 느꼈으며, 뇌의 통증 처리와 관련된 활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49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도시 및 실내 사무실 장면과 자연 풍경이 담긴 영상을 시청하게 한 뒤, 가벼운 전기 충격을 가해 뇌의 반응을 분석했다.
그 결과, 자연 영상을 본 참가자들은 도시 장면을 본 참가자들보다 통증을 덜 느꼈으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검사에서도 뇌의 통증 처리 영역에서 반응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빈대학교의 막스 슈타이닝거 연구원은 “자연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널리 알려졌지만, 통증 완화 효과가 뇌의 신경 반응과 직접 연관된다는 것이 이번 연구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연구팀은 자연 속에서 느낄 수 있는 통증 완화 효과가 가상 자연 영상 시청을 통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는 병원이나 의료 환경에서 비약물적 통증 치료법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이번 연구는 40년 전 미국 환경심리학자 로저 울리히 박사가 발표한 연구를 기반으로 진행됐다. 울리히 박사는 병원 환자들이 창문을 통해 자연을 볼 수 있을 때 더 빨리 회복되고, 진통제를 덜 사용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엑서터대 알렉스 스멀리 박사는 “통증 완화 효과가 실제 자연뿐만 아니라 가상 자연을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자연이 인간의 심리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자연 체험을 활용한 통증 완화 프로그램이 의료 및 심리치료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도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