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관세 여파…보험료 최대 10% 인상 우려

“부품값→수리비→보험료…눈덩이 효과”

미국의 25% 수입 자동차·부품 관세가 소비자들의 지갑을 다시 압박할 전망이다. 관세로 인해 자동차 보험료가 올해 말까지 최대 10% 인상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15일 폭스비즈니스(FOX Business)는 트럼프 행정부가 자동차 관세 완화 조치를 발표했지만 여전히 수입차와 부품에는 25% 관세가 적용돼 보험료 인상 도미노가 불가피하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수입 부품값 상승과 공급 지연이 자동차 수리비를 끌어올리고, 이 부담이 고스란히 보험료로 전가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보험 연구기관 인슈어리파이(Insurify)의 매트 브래넌 데이터 분석가는 “부품값이 오르면 자동차 수리 비용도 비싸지고 결국 보험사가 부담한 수리비가 소비자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진다”며 “인기 차종 기준 차량 가격이 관세로 15% 오르면, 보험료도 매년 6% 추가 인상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네바다주 등  서부 지역은 이미 높은 보험료로 유명한데, 이번 관세 여파는 이들 지역 운전자에게 더욱 큰 부담이 될 전망이다.

애틀랜타에서도 수입 부품 대기 기간이 수주일씩 지연되고 있다. 귀넷카운티 소재 이지스 오토(Ezzy’s Auto)의 에릭 랜돌프 대표는 “23일이면 끝날 수리도 부품이 없어 4주째 지연 중”이라며 “부품 가격이 도매점과 중간 공급망을 거치며 100110%까지 오르고 있다”고 전했다.

렌터카 업계는 역설적으로 수혜를 보고 있다. JS 라이드셰어 렌탈스의 드안드레 존슨 대표는 “신차 가격 급등으로 소비자들이 차를 사지 못해 렌터카 수요가 늘고 있다”며 “사업 가치도 덩달아 올랐다”고 말했다.

보험업계는 관세 인상 효과가 즉각 반영되진 않겠지만, 늦어도 올해 말쯤엔 소비자들이 보험료 인상 체감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재고 비축과 현지 생산 확대가 일시적 완충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부품 의존도가 높은 중소규모 수입차는 보험료 인상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자 사진

이승은 기자
자동차 보험(CG)
[연합뉴스TV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