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 법적대응 지속…소송 종결시까지 최종 확정에 시간 걸릴듯
지난 30일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11·3 대선에서 위스콘신주에서도 승리했다는 인증을 받았다.
이날 인증을 사실상 끝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패배해 문제를 제기했던 경합주가 모두 바이든 승리를 인정함에 따라 트럼프의 입지는 더욱 좁아지게 됐다.
앞서 조지아, 미시간, 펜실베이니아, 네바다주도 검증 과정 등을 거쳐 바이든 당선인의 손을 최종적으로 들어줬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법정 다툼을 끝까지 이어가 실낱같은 희망을 살리려 하지만, 줄줄이 패소하고 있다.
위스콘신주 선거관리위원회는 2개 카운티에서 재검표를 한 결과 바이든 당선인이 약 2만 700표 차이로 승리했다는 선거 결과를 확인했다. 재검표 이전의 애초 개표 결과보다 바이든이 87표를 더 얻었다.
민주당 소속의 토니 에버스 주지사는 선관위원장 확인 직후 확인서에 서명, 선거인단 10명을 바이든에게 부여하면서 바이든 승리를 공식 인증했다.
에버스는 성명에서 주와 연방법에 따라 선거 인증 의무를 수행했다고 밝혔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전했다.
주 법무장관 조시 카울도 “선거결과에 영향을 줄 광범위한 사기가 있었다는 주장은 전혀 근거가 없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트럼프 대통령 측이 요구한 부분 재검표가 흑인이 다수인 두 개의 가장 인구가 많은 카운티를 대상으로 한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선거권을 대량 박탈하려는 수치스러운 짐 크로 전략이 실패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짐 크로법은 남북전쟁에서 진 남부 주들이 흑인을 계속 차별하려 만든 법으로 학교, 버스, 식당 등 공공시설에서 백인과 흑인을 분리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미국은 각 주 투표 결과 인증이 마무리되면 12월 14일 선거인단 투표를 해 차기 대통령을 뽑는 절차를 진행한다.
하지만 법적 싸움이 끝난 것은 아니다.
위스콘신 주법은 재검표에서 패한 측에 5일간 법원에 이의제기를 허용하고 있어 트럼프 측은 주지사 인증에도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현재 주 선거결과 인증을 차단하고 공화당이 장악한 주 의회에서 선거인단을 지명토록 하기 위한 소송 등 두 건이 주 대법원에 계류 중이다.
메건 울프 주 선관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소송에서 이긴다면 판사가 확인서 수정을 명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법률 전문가들은 트럼프 캠프의 법적 주장은 근거가 미약해 그들이 법정에서 힘든 싸움에 직면할 것으로 본다고 WP는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