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틀랜타 ‘배심원’ 사기 다시 기승

법 집행기관 사칭…”의무 불이행 체포” 협박

애틀랜타 지역에서 배심원 의무(jury duty)를 빌미로 한 사기가 다시 확산되고 있다. 사기범들은 법 집행 기관을 사칭해 전화를 걸어, 배심원 의무를 불이행했다며 체포 영장이 발부됐다고 협박해 돈을 요구하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13일 WSB-TV에 따르면 풀턴 및 디캡 카운티 주민들은 최근 이 같은 전화를 받았다고 밝혔다. 디캡카운티에 거주하는 디애나 터너(Deanna Turner)도 수요일 아침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그녀는 “전화 상대가 내 이름을 부르며 카운티 셰리프국 직원이라고 말했다”면서 “갑자기 가슴이 철렁했다”고 회상했다. 이어 “배심원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출석 불이행과 불응죄로 체포 영장이 발부됐다고 했다”고 전했다.

사기범들은 그녀의 이름, 주소, 차량 정보뿐만 아니라 그녀가 혼자 산다는 사실까지 알고 있었다. 이들은 지난해 10월 배심원 출석 통지서가 그녀의 집으로 전달됐으며, 그녀가 직접 서명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터너는 전혀 기억이 나지 않았다.

사기범들은 그녀에게 카운티 공공안전센터(Public Safety Building)로 즉시 출석할 것을 요구했다. 그리고 “체포 영장이 발부된 상태에서 운전할 경우 경찰이 단속할 수 있으니 전화를 끊지 말고 계속 통화하라”고 지시했다.

이들은 터너에게 체포 영장 한 건당 1500달러, 총 3000달러를 납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CVS 약국에 가서 돈을 송금한 뒤 영수증을 가져오라고 했다. 이후 그녀의 운전면허증 서명과 배심원 통지서 서명을 대조해 본인이 직접 서명했는지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이때 터너는 뭔가 이상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경찰이 전화를 걸어 돈을 요구할 리가 없다”고 생각한 것이다. 결국 그녀는 돈을 보내지 않고 전화를 끊었다.

사실 이러한 배심원 의무 사기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FBI는 2024년 2월 조지아주에서 해당 사기가 급증하고 있다며 공식 경고를 발표한 바 있다.

애틀랜타 BBB(Better Business Bureau)에는 수백 명의 피해가 보고됐으며, 일부는 1000달러 이상을 잃었다고 밝혔다. BBB의 테일러 힉스(Taelore Hicks)는 “공포심을 조장해 피해자들이 빠르게 결정을 내리도록 유도하는 것이 이 사기의 핵심 전략” 이라고 설명했다.

터너는 자신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피해를 입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요즘 사기범들이 점점 더 교묘해지고 있다. 직감이 이상하다고 느껴지면, 아마도 그것은 사기일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기자 사진

이승은 기자
Atlanta K Media Illustration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