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45%→30%, 중국 125%→10%로 대폭 축소
“디커플링 원치 않는다” 공감대…무역전쟁 일단 완화
미국과 중국이 90일간 상호 부과한 고율 관세를 대폭 낮추기로 전격 합의했다. 양국이 치킨게임 양상으로 치닫던 무역전쟁을 일단 숨고르기에 들어가며 시장의 불확실성도 일부 해소될 전망이다.
연방 재무부 스콧 베선트 장관과 무역대표부(USTR)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 중국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는 12일 공동성명을 통해 미국과 중국이 상호 관세를 각각 115%포인트 인하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부과했던 145%의 고율 관세를 30%로 낮추고, 중국도 미국산 제품에 대한 125%의 보복관세를 10%로 줄인다. 인하된 관세는 오는 14일부터 90일간 적용되며, 이 기간 후속 협상을 통해 최종 조율할 예정이다.
미국의 30% 대중 관세에는 펜타닐 관련 20% 관세가 포함된다. 이를 제외하면 미국과 중국 모두 최소한의 상호관세 10%만 남긴 셈이다.
베선트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양국 대표단은 디커플링을 원치 않는다는데 의견을 모았다”며 “펜타닐 밀거래 단속 등 핵심 쟁점에서도 실질적인 논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양국은 향후 협상을 이어가기 위한 협의체도 마련한다. 추가 논의는 미국, 중국, 제3국을 오가며 진행되며, 허리펑 부총리와 베선트 장관, 그리어 대표가 주축이 된다.
이번 합의를 두고 전문가들은 무역전쟁의 긴장 수위가 다소 낮아지겠지만, 근본적 해법은 아니라는 평가를 내놨다. 나티시스의 알리시아 가르시아 헤레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합의는 임시 조치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이번 합의가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 정상회담의 길을 열었지만, 무역전쟁 종식은 양국 정상의 정치적 결단에 달렸다”고 전망했다.
한편 이번 합의는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마라톤 협상 끝에 극적으로 도출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날 회담 직후 “우호적이고 건설적인 리셋 협상이 있었다”고 밝혀 합의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