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애틀랜타 뉴스 미국 정보 Atlanta K

“한국인 기술자 복귀 논의 중…한국 의존 불가피”

서배너 경제개발청장 “계약은 유효, 이번 일은 작은 차질에 불과”

조지아주 서배너 지역에서 진행 중인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공장 건설과 관련해, 지난 4일 미 이민세관단속국에 의해 체포됐다가 귀국한 한국인 기술자들의 복귀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트립 톨리슨(Trip Tollison) 조지아주 서배너 경제개발청(SEDA) 청장은 17일 지역 언론 서배너 모닝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배터리셀 장비 설치와 기술 교육은 현대차에서 파견된 한국 기술자들만이 수행할 수 있는 고유한 업무”라며 “해당 기술을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은 세계 어디에도 없고, 우리는 한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톨리슨 청장은 “현재 복귀 방안에 대해 논의가 진행 중”이라면서도 구체적인 논의 주체나 시점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SEDA는 조지아 남동부 서배너 지역의 투자 유치와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설립된 공공 기관으로, 주 정부와 협력해 대규모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톨리슨 청장은 이번 단속에 대해 “테네시 내슈빌에 출장 중이던 상황이라 전혀 사전 정보를 받지 못했고, 작전 규모에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최근 팻 윌슨 조지아주 경제개발부 장관과 함께 디트로이트에서 현대차 경영진과 면담을 가진 사실도 공개했다. “현대차 측도 충격과 혼란이 컸다. 하지만 우리가 현장을 방문해 주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지원 의지를 전달했고, 프로젝트가 계속 진행 중임을 재확인했다”며 “복귀 논의도 매우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계약은 여전히 유효하며, 일정도 최대한 빠르게 정상화될 것”이라며 “이번 일은 전체 프로젝트에 있어 작은 차질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제기된 지역 내 일자리 창출과 주택 수요 위축 우려에 대해서는 “공급업체나 개발업체로부터 별다른 문제 제기는 없었다”며 프로젝트의 지속성에 대해 자신감을 보였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 북미 총괄 이혁재 사장 역시 전날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자동차 업계 행사에서 “공장 건설은 중단되지 않았으며 고객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호세 무뇨스 현대차 글로벌 CEO는 앞서 “이번 사태로 인해 건설 일정이 최소 2~3개월 지연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어 일정 차질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전경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