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애틀랜타 뉴스 미국 정보 Atlanta K

“하루 1분 격렬한 운동, 심장을 살린다”

짧고 격렬한 고강도 운동, 심폐 기능·지방 연소·골밀도 향상에 탁월

운동은 오래 해야 효과가 있을까? 최신 연구에 따르면 꼭 그렇지는 않다.

하루 단 1분 동안 전력 질주하는 ‘스프린트’ 운동이 오랜 시간 저강도 운동을 지속하는 것보다 심장 건강과 근육, 골밀도 유지에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데일리메일은 25일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의 케이티 허시(Katie Hirsch) 운동생리학 교수의 연구 내용을 인용해 짧고 격렬한 고강도 운동이 심폐 기능을 극대화하고 신체 대사 구조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한다고 보도했다.

이른바 ‘스프린트 운동’은 15초에서 최대 1분 동안의 전력 질주와 짧은 회복 시간을 번갈아 반복하는 고강도 훈련법이다. 전문가들은 이 운동이 최대 산소 섭취량(VO₂ max)을 크게 끌어올리는 데 효과적이라고 설명한다. VO₂ max는 몸이 산소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수치가 높을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이 낮아진다.

허시 교수는 “스프린트는 단순히 운동 중 칼로리를 태우는 수준을 넘어, 운동 후에도 지방 연소를 유도하는 체질 개선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전통적인 유산소 운동과는 다른 점이다.

플로리다대학교의 스포츠의학 전문가 헤더 빈센트 교수도 스프린트의 장점에 동의했다. 그는 “이 운동은 노화에 따른 근육 손실을 줄이고, 민첩성과 근력을 유지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며 “속근 섬유를 자극하고, 고관절과 척추에 물리적 자극을 주어 뼈를 단단하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고 밝혔다.

다만 빈센트 교수는 “스프린트가 골밀도 향상에는 효과적이지만 근력운동을 대체할 수는 없다”며 보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스프린트는 시간이 부족하거나 전통적인 유산소 운동에 지루함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강력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운동 초보자라면 ‘20초 전력 질주 후 40초 걷기’를 한 세트로 반복하는 방식으로 시작해 점차 세트 수를 늘려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한다.

Atlanta K Media Illustration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