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수입약 100% 관세…“무보험 저소득층 직격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의약품 수입 관세 정책이 오는 10월 1일부터 본격 시행되면서, 일부 조지아 주민들이 복용 중인 브랜드 약값이 최대 2배까지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애틀랜타 리틀파이브포인츠 지역에서 약국을 운영해 온 이라 카츠(Ira Katz) 약사는 WSB-TV에 “이미 많은 고객들이 약값에 대해 걱정하며 찾아오고 있다”며 “보험이 없는 환자나 저소득층이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지아주립대(GSU) 경제학자 톰 스미스(Tom Smith)는 “관세로 인한 비용 상승분은 보험사와 소비자가 나눠 지게 되지만, 실질적으로는 보험사가 먼저 부담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은 결국 소비자가 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발표에서 브랜드 또는 특허 의약품에 대해 100% 수입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다만, 현재 미국 내 제조시설을 신축 중이거나 착공한 제약사는 이번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번 정책은 아직 제네릭(복제약)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제네릭은 미국에서 처방되는 대부분의 약품을 차지하고 있어, 일단은 영향이 제한적이다.
그러나 카츠 약사는 “미국 내 제네릭 약품의 대부분을 인도와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이들 국가에도 관세를 부과할 경우 사태가 훨씬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머크(Merck), 일라이 릴리(Eli Lilly),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 등 주요 제약사들은 이번 정책 발표 후 미국 내 생산시설 확장 계획을 잇따라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제조업을 되살리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지만, 당장 약값 부담이 커질 환자들에 대한 보완책은 제시되지 않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