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보다 2% 늘어…해외청년 유치·정착 지원 본격 추진
2026년 재외동포청 예산이 올해보다 2% 늘어난 총 1092억 원으로 확정됐다.
이번 예산안에는 해외 동포 청년 유치 및 정착 지원, 사할린·입양 동포 예산의 이관, 한글학교 지원 확대, 디지털 보안체계 구축 등, 동포사회와의 유대를 강화하고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 사업들이 다수 포함됐다.
정부는 지난 8월 29일 국무회의를 통해 해당 예산안을 의결했으며, 향후 국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해외 동포 청년을 대상으로 한 유치·정착 지원 사업이다. 내년 처음 시행되는 이 사업에는 31억 원의 예산이 배정됐다.
해당 사업은 유학생과 취업 준비생을 대상으로 국내 대학(원) 학업을 위한 장학금, 한국 내 정착을 위한 취업 교육·훈련비 등을 지원하게 된다.
재외동포청은 이 사업을 통해 저출생·지방소멸 위기 대응과 동시에, 차세대 동포를 국가 발전의 전략적 동반자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기존 보건복지부가 담당하던 사할린 동포 및 해외 입양동포 지원 예산이 내년부터 재외동포청으로 이관된다는 것이다. 이 예산은 총 78억 원 규모로 사할린 동포의 영주귀국 및 정착 지원, 입소 시설 운영비, 입양동포단체의 한국문화 이해활동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동포 정책의 일원화와 정책 컨트롤타워로서 재외동포청의 역할 강화를 상징하는 조치로 해석된다.
전 세계 한글학교에 대한 지원도 더욱 확대된다. 2025년 180억 원이던 예산은 2026년 195억 원으로 증액돼 차세대 동포들의 한글 교육, 역사·문화 교육 기반을 강화한다.
재외동포청 측은는 “이번 예산안은 동포사회와의 연대를 강화하고,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전략적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기반”이라며 “국내외 동포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정책으로 이어지도록 사업을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인천시청 옆 인천데이터센터(IDC) 외벽에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 성공을 알리는 현수막이 설치되어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