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애틀랜타 뉴스 미국 정보 Atlanta K

“이중언어 사용하면 노화 늦춰진다”

아일랜드 연구팀 “두 개 이상 언어 쓰는 사람, 노화 속도 최대 2배 지연”

두 개 이상의 언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습관이 노년층의 생물학적 노화를 현저히 늦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모국어와 구조가 다른 언어를 배울수록 뇌의 젊음을 유지하는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됐다.

아일랜드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의 아구스틴 이바녜즈 교수 연구팀은 유럽 27개국 8만6000여 명(평균 66.5세)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에이징(Nature Aging)*에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다언어 사용자는 한 가지 언어만 사용하는 사람보다 생물학적 노화가 일관되게 더 천천히 진행됐다.

단일 언어 사용자보다 가속 노화를 겪을 확률이 약 2배 높았으며, 사용하는 언어의 수가 많을수록 노화 지연 효과는 더욱 커졌다.

연구진은 개인의 실제 나이와 건강·생활습관을 반영한 ‘생체행동적 연령 격차’를 측정했다.

이 수치가 실제 나이보다 높으면 빠른 노화, 낮으면 늦은 노화로 분류했다.

그 결과, 특정 시점에서 다언어 사용자는 단일 언어 사용자보다 가속 노화 위험이 54% 낮았고, 시간이 지나면서 가속 노화가 생길 확률도 30% 더 낮았다.

이는 단일 언어 사용자일수록 같은 연령대에서 노화가 2배가량 빨리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연령·교육·신체적 건강 등 다른 요인을 고려한 뒤에도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유지됐다.

연구팀은 “다언어 사용이 단순한 언어 능력을 넘어 인지적 자극과 사회적 교류를 활성화해 뇌 건강을 지키는 효과를 낸다”고 분석했다.

특히 언어 구조가 다른 외국어를 익히는 과정은 신경회로를 더 폭넓게 자극해 인지 기능 유지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이바녜즈 교수는 “다언어 사용은 고령층의 건강한 노화를 촉진할 수 있는 보건 전략의 새로운 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연구팀은 “여러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노화를 늦추는 직접적인 원인인지, 아니면 다언어 환경이 만들어내는 사회적·인지적 자극의 결과인지는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시니어 영어 수업 모습/North Orange Continuing Edcation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