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임을 경험한 일이 있는 여성은 중년기에 우울증과 불안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산부인과 전문의 빅토리아 피츠 교수 연구팀이 ‘전국 여성 건강 연구'(SWAN: Study of Women’s Health Across the Nation)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27일 보도했다.
분석 대상 여성은 3061명(42~52세)으로 호르몬 치료는 받지 않고 있었다.
아이를 갖고 싶었지만, 자식을 갖지 못한 여성은 우울증 위험이 45%로 더 높았다.
불임 경험이 있는 여성은 또 폐경 이행기(menopausal transition)에 불안 (anxiety) 증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19%, 원하는 자식을 갖지 못한 여성은 28% 높았다.
폐경 이행기는 월경이 완전히 없어지는 폐경으로 진행되는 시기로 폐경의 시작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경구 피임약, 결혼 상태, 보험, 교육 수준, 인종과 종족 다른 변수들을 고려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다만 불임을 겪은 일이 있거나 원하는 자녀를 갖지 못한 것이 폐경 때 나타나는 안면홍조 같은 혈관운동 증상(vasomotor symptom)과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불임을 경험한 것이 갱년기 때 우울증 검사를 받아야 하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추가 연구를 통해 이 사실이 확인된다면 우울증의 위험요인으로 지목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생식 의학 학회(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연례회의에서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