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병의 근원’ 스트레스, 코로나 면역력도 저하

뇌 시상하부 자극→ 면역 반응 저해 메커니즘 첫 규명

림프절의 백혈구, 혈액ㆍ골수로 ‘대이동’…네이처 게재

현대인을 괴롭히는 우울증
현대인을 괴롭히는 우울증 스트레스가 염증을 유발하면 뇌의 세로토닌 분비가 억제돼 우울증이 심해진다.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제공]

보통 스트레스는 정신적ㆍ신체적 자극을 받았을 때 이에 대항해 변화를 일으키려는 정신적 압박을 말한다.

외부에 ‘스트레스 요인’이 생기면 긴장, 각성, 흥분, 불안 같은 생리 반응이 나타난다.

스트레스는 외부 압박을 원상으로 되돌리려는 반작용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추론이 사실이라는 걸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걸리거나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에서 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면역 반응이 뚜렷이 약해진다는 게 요지다.

연구팀은 이번에 뇌의 특정 영역이 세포의 면역 반응을 통제하는 메커니즘도 처음 밝혀냈다.

미국 마운트 시나이 의대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30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Nature)에 논문으로 실렸다.

뇌 기능과 기분 조절에 관여하는 장 미생물
뇌 기능과 기분 조절에 관여하는 장 미생물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 연구의 최대 성과는, 스트레스가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면역 반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낸 것이다.

과학적 실험을 통해 이 메커니즘이 확인된 건 처음이다.

이 발견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개인별 위증도 차이가 큰 이유를 설명하는 데도 도움이 될 거로 보인다.

심한 스트레스가 생겼을 때 곧바로 영향을 받는 영역은 ‘뇌실결핵 시상하부'(paraventricular hypothalamus)였다.

스트레스는 이 영역의 뉴런(신경세포)을 자극해 백혈구의 대이동을 유도했다.

림프절의 백혈구가 한꺼번에 혈액과 골수로 옮겨가게 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과 저항력이 약해지고, 감염 합병증과 사망 위험이 커졌다.

연구팀은 스트레스를 받은 생쥐와 편안한 상태의 생쥐를 모델로 면역 반응을 비교했다.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생쥐는 몇 분 지나지 않아 백혈구의 대규모 이동이 관찰됐다.

광유전학(optogenetics) 등 첨단 기술로 확인해 보니, 스트레스가 생겼을 때 곧바로 자극을 받는 건 뇌실결핵 시상하부였다.

편안한 상태에 있던 생쥐는 ‘스트레스 그룹’보다 바이러스 감염에 더 잘 맞서 싸웠고 바이러스를 더 쉽게 제거했다.

스트레스를 받은 생쥐는 면역력이 약해져 바이러스 감염증이 더 심해졌고 더 많이 죽기도 했다.

연구팀은 갖가지 유형의 면역세포가 골수에서 혈액으로 이동할 때 뇌의 운동 기능 영역이 관여한다는 것도 밝혀냈다.

폐 대식세포에 감염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폐 대식세포에 감염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줄기세포 이식으로 생쥐 모델에 생긴 인간의 폐 조직.
대식세포에 감염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입자(녹색)가 선명히 보인다.
[미국 보스턴대 Douam and Kenney, 하버드의대 전자현미경 설비 협조. 재판매 및 DB 금지]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온몸의 백혈구 분포와 백혈구 기능을 제어하는 뇌 영역이 분명히 다르다는 것도 이 실험에서 드러났다.

물론 연구의 초점은 뇌실결핵 시상하부와 운동 기능 관장 영역에 맞춰졌다.

스트레스가 백혈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인체의 바이러스 면역력을 떨어뜨린다는 건 향후 면역력 연구에 긴요히 참고될 거로 보인다.

일례로 백혈구의 혈액 이동이 너무 오래가면 심혈관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어쨌든 스트레스가 인간의 면역계와 바이러스 감염 방어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건 분명하다.

이 의대 심혈관 연구소 소장이자 논문의 교신저자인 필립 스워스키 박사는 “어떻게 하면 스트레스 회복력이 생기는지, 스트레스가 면역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그런 회복력으로 경감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라면서 “스트레스의 장기적 영향을 더 깊이 이해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cheon@yna.co.kr